본문내용
1. 사상의학과 체질의 현대의학에 관한 논의
1.1. 서론
대부분 남자들이 많은 태음인은 골격이 굵고 비대한 사람이 많으며 대체로 손발이 크고 이목구비가 크며 입술이 두터운 사람이 많다. 상체보다 하체가 튼튼하고 허리부위의 형세가 성장하여 서 있는 자세가 굳건하며,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땀을 많이 흘리는 체질이다. 또한 이제마는 "태음은 기질의 장점은 성취에 있고, 재주는 거처에 있다."고 하여 성취와 거처를 태음인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설명하고 있다. 즉, 태음인은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해내는 불굴의 집념과 투지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모임에서든 자기자리를 듬직하게 지킬 줄 아는 성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태양인, 소양인 등의 사상체질에 관한 이야기를 자주 접하게 된다. 그렇다면 사상체질이란 과연 무엇인가? 사상체질은 한의학에서 오장육부의 기능 상태와 그에 따른 성격, 체격, 질병 등의 특성을 바탕으로 개인을 구분한 체질의학의 일환으로, 이제마 선생에 의해 그 근원을 두고 있다. 이러한 사상체질론은 각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예방의학적 섭생법과 치료법을 연구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1.2. 사상체질의 정의
사상체질이란 세상에는 똑같은 모습의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같은 오장육부를 지니고 있다 하더라도, 그 기능의 허(虛)하고 실(實)한 상태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사람마다 독특한 생리기능을 발휘한다는 의미이다. 한의학에서는 이를 체질(體質)이라 하며, 이러한 체질의 특이성에 의해 사람들은 성격이나 음식의 기호, 체격, 자주 걸리는 질환까지도 차이가 나게 된다. 이처럼 개개인의 체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예방의학적인 측면의 섭생법과 치료 방법 등을 연구하는 것을 체질의학 또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이라고 하며, 이는 이제마(李濟馬) 선생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 사상의학에서는 인간의 성정(性情) 즉, 타고난 바에 의해 각각의 오장육부에 허실(虛失)이 생김으로써 체질별로 독특한 질환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실제 치료에 있어서도 호흡기 질환, 간장 및 신장 질환, 소화기 질환 등을 참고로 하여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의 4유형으로 대별하여 치료하는데, 사상(四象)이란 바로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의 네 체질별 유형인 것이다.
1.3. 사상의학과 현대의학의 논의
사상의학과 현대의학의 논의는 서로 상반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사상체질을 의학으로 간주하며 믿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한의학적에서는 대부분의 한의사가 사상체질이론을 인정하고 있으며, 사상의학을 정식교과로 가르치며, 곧 국시과목으로도 인정된다고 한다. 또한 사상의학은 직접 배워보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가히 짐작할 수 없는 심오한 경지의 훌륭한 의학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아직 접하지 않거나 귀동냥해서 들어본 사람들은 배워보지 못했기 때문에 인정하고 싶지 않아 정립되지 않은 가치 없는 의학이라 폄하 하는 우를 범하기도 한다.
하지만 그 의학을 직접 배운 많은 사람들은 그 놀라운 효과에 감탄을 금할 수가 없다고 한다. 오장육부의 기능의 조화를 바탕으로 환자의 병의 근원을 찾아내는 과학적인 방법이며 근본부터 치료하여 완전히 병마를 퇴치하는 최고의 의학이라고 믿고 있다. 하지만 아직 연구기간이 짧은 학문이라 모든 한의사들이 확실하게 접해 보지 못한 상태에서 환자의 요구를 짧은 상식으로 판단하여 오진을 많이 하고 신뢰도를 하락시키는 것은 삼가야 할 사항이라고 덧붙인다. 현대의학에도 신경외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등이 있듯이 한의학에서도 사상의학을 전문으로 하는 곳이 있으니 꼭 그곳에 가서 체질을 감별하면 신뢰도에 문제가 없다고 말한다.""
1.4. 사상의학의 이해와 접근
1.4.1. 발병을 예측하는 척도
식습관 등 생활습관은 물론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