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간호관리학 QI 투약오류 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투약오류 개선활동
1.1. 문제 개요
1.2. 활동 배경
1.3. 문제점 분석
1.4. 활동 목표
1.5. 원인 분석
1.6. 핵심 지표
1.7. 자료 수집 계획
1.8. 개선 전략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투약오류 개선활동
1.1. 문제 개요
투약오류는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위해사건이다. 간호사의 투약업무가 전체 간호 업무의 20% 이상을 차지할 만큼 빈도가 높고 중요한 업무이지만, 투약과정에서 다양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간호대학생의 경우 환자확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투약절차 불이행, 이론적 지식의 실무 적용 어려움 등으로 인해 투약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간호대학생의 투약오류 경험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활동이 필요하다"이다.
1.2. 활동 배경
간호사가 경험한 환자 안전사고 내용 중 투약오류는 보건의료기관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위해사건이다"이다. 간호 영역에서 투약업무는 전체 간호 업무 중 20% 이상을 차지할 만큼 간호 수행 빈도가 높고, 간호활동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서는 "약물안전관리는 환자안전사고에서 낙상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이다. 이처럼 투약오류는 간호사 개인의 문제뿐만 아니라 환자의 생명까지도 위협할 수 있기에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3. 문제점 분석
문제점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대학생의 문제점이 있다. 간호대학생들은 환자확인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었으며, 투여할 약을 빠뜨리거나 복용여부와 부작용을 확인하지 않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투여경로가 바뀌었음에도 이전대로 투약하는 등의 모습을 보였다. 이는 비슷한 크기나 약명으로 인한 투약과정에서의 혼동, 투약용량 단위의 이해 부족, 투약에 관한 의사소통 도구 미흡, 투약과정 절차 불이행 등의 인적요소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간호대학생들은 이론적 지식을 실제 상황에 적용하기 어려워하고, 기본적인 안전규칙 준수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산만한 상황으로 대상자와의 상호작용이 어려웠으며, 업무 집중으로 인한 소...
참고 자료
김지영(Jiyoung Kim).(2021).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투약오류와 복구 수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4): 603-622
환자안전약물관리본부
https://www.safepharm.or.kr/archive_normal_detail.do?category=410&seq=22&curPage=&title=&search
김미란.(2012). 병원간호사의 항암화학요법 제제 정맥주사 투약안전 수행능력 향상 활동을 위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0(11): 467-475
약업신문, http://www.yakup.com/news/index.html?mode=view&cat=all&nid=217802 (2018년 05월 04일)
고위험약물안전관리, https://www.kpanews.co.kr/academy/show.asp?page=1&search_cate=14&idx=32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10475cc129da1918ffe0bdc3ef48d419&outLink=K
5rights 포스터(환자안전)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ingspot&logNo=220504947199
널싱스킬 엘스비어: 투약 https://kr1.nursingskills.kr/Home/SkillDisplay/tabid/69/sid/5149/Default.asp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