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협심증케이스 문헌고찰 중요하게 간호진단3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1.1.2. 증상 및 징후
1.1.3. 빈도 및 예후
1.2. 진단검사
1.2.1. 건강력 및 신체검진
1.2.2. 심전도
1.2.3. 심초음파 검사
1.2.4. 관상동맥조영술
1.2.5. 혈액검사
2. 간호과정
2.1. 간호사정
2.1.1. 일반적 사항
2.1.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도구
2.2. 간호문제 List
2.3. 간호과정 적용
2.3.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 통증
2.3.2. 저하된 체순환량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위험
2.3.3. 약물치료와 관련된 출혈위험성
3.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문헌고찰
1.1.1. 질병의 정의 및 원인
협심증(angina pectoris)은 가역적인 심근세포 손상에 의한 심근의 국소적이거나 일시적인 심근허혈의 결과이며, 갑작스런 흉통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적인 증후군이다"" 심근의 산소요구와 공급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며, 관상동맥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이다"" 심근허혈과 협심통은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와 심박출량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이 흉통을 유발한다""
발생요인으로는 첫째, 심근의 산소공급 저하 요인이다"" 이는 혈관요인(관상동맥의 협착 및 폐색, 관상동맥경련, 관상동맥염), 순환요인(혈액손실, 항고혈압성 약물복용으로 인한 저혈압), 혈액요인(빈혈, 저산소혈증, 다혈구혈증)에 의해 발생한다""
둘째, 심박출량의 증가로 인한 심장의 과부담으로 인한 심근의 산소요구량의 증가이다"" 운동과다, 과식, 과음, 빈혈,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의 요인에 의해 심박출량이 증가하여 심근의 산소요구량이 상승하게 된다""
셋째, 손상된 심근이나 비대된 심근과 같이 심근의 산소수요량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협심증이 발생할 수 있다""
협심증의 형태는 크게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 이형성 협심증으로 구분된다"" 안정형 협신증은 신체적 노력이나 정서적 변화로 인해 흉통이 발생하지만 안정을 취하면 가라앉는 특징을 보인다"" 불안정형 협신증은 예고 없이 나타나며 안정을 취해도 흉통이 지속되는 경우이다"" 이형성 협신증은 유발요인 없이 흉통이 발생하고 ST분절이 상승하는 특징을 보인다""
1.1.2. 증상 및 징후
협심증 환자의 대부분은 갑작스러운 흉통과 가슴이 답답함을 호소하며 얼굴이 창백하고 식은 땀, 심계항진, 불안, 피로를 느끼며 숨이 차다고 호소하기도 하는데, 심하면 실신하기도 한다"" 협심증의 전형적인 증상은 무겁게 짓누르는 듯한 (compression type) 흉통 또는 쥐어짜는 듯한 (squeezing type) 흉통이다"" 이러한 흉통은 대부분 좌측 어깨와 좌측 팔의 안쪽을 따라 방사되어 나타나지만, 때로는 우측 어깨와 턱, 상복부로 방사되기도 한다"" 대부분의 전형적인 협심증 통증은 2-3분 내의 짧은 시간동안 지속되며, 과식, 과음, 극도의 흥분상태에서는 10-15분 정도 지속된다"" 그 외에도 비전형적인 증상으로 소화불량, 오심, 구토 등의 위쪽 통증도 나타날 수 있다"" 협심증 증상의 특징은 운동, 정서적 흥분, 스트레스, 찬 공기, 과식 등에 의해 악화되고 휴식이나 니트로글리세린 투여에 의해 완화된다는 것이다""
1.1.3. 빈도 및 예후
안정형, 불안정형 협심증은 주로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을 초래한다. 이형성 협심증은 발작중에는 심실 기외수축(ventricular extra systole)이 일어나 드물게는 심실세동으로 인한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협심증 발병 연령대로 보면 50세 이상 환자가 65만4천666명으로 전체 환자의 97%를 차지했다. 그중에서도 50세 이상 남성 환자는 38만4천672명으로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인 것으로 집계됐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대사질환으로 협심증의 가장 큰 원인이다. 지난해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남성이 21.5%로 전년보다 1.3%포인트 증가했고, 여성은 20.3%로 1.5%포인트 올랐다. 유병률 증가 폭이 가장 큰 연령대는 50대로, 남성은 전년보다 7%포인트, 여성은 6.6%포인트 증가했다.
1.2. 진단검사
1.2.1. 건강력 및 신체검진
건강력 및 신체검진"은 협심증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대상자의 과거력과 현재 호소하는 증상에 대한 정보를 통해 협심증의 원인과 증상 양상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건강력 사정에서는 과거 질병력, 수술력, 투약력 등을 확인한다. 협심증의 경우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고혈압, 당뇨 등의 기저질환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협심증 발생 시기와 악화되는 양상, 관련 증상 등을 자세히 파악한다.
신체검진에서는 활력징후 측정, 심장 및 호흡기계 진찰, 피부 및 말초순환 사정 등을 수행한다. 특히 협심증 환자의 경우 경정맥압 상승, 심잡음, 청색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면밀히 관찰한다. 또한 통증 호소 시 심전도 검사를 시행하여 ST분절 변화 등의 허혈 소견을 확인한다.
이처럼 건강력 및 신체검진을 통해 협심증의 원인, 증상 양상, 중증도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1.2.2. 심전도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는 심장의 전기적인 활동을 기록한 그래프로, 심장질환의 진단과 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검사 도구이다"
심전도 검사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얻는 것으로, 심근 허혈이나 심근 경색과 같은 다양한 심장 질환을 진단하는데 활용된다. 12유도 심전도 검사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양쪽 팔과 다리, 그리...
참고 자료
윤은자 외 공저, 9판 개정 성인간호학 Ⅱ, 수문사, 2021, p741-773
이동숙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메디컬에듀케이션, 2021
서울대학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 병원, “협심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915&cid=51007&categoryId=51007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불안정형 협심증”,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2135
중년의 심장이 떨고 있다…위험한 불청객 '협심증' (영남일보, 2022-11-22)
https://m.yeongnam.com/view.php?key=*************2760
포장ㆍ배달 음식 탓? 고콜레스테롤혈증만 늘어나 (한국일보, 2022-11-25)
https://n.news.naver.com/article/469/0000709611?sid=103
킴스 약학사전,
https://www.kimsonline.co.kr/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
황옥남 외(2019), 성인간호학, p.262~632, 현문사, 서울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제 2판, p.288~292, 현문사, 서울
송경애 외(2019), 최신 기본간호학Ⅰ, p.261~263, 수문사
https://health.cdc.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유성자 외 (2021). 성인간호학II. 수문사
약학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