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색전증 (Pulmonary Embolism)
1.1. 정의
폐색전증은 색전성 물질이 원발부위로부터 떨어져 나와 혈류에 의해 폐로 운반되어 폐혈관을 폐색하는 현상이다."
1.2. 원인 (Virchow's triad)
폐색전증의 주된 원인은 Virchow's triad라 불리는 3가지 요인이다. 첫째, 혈관벽의 국소적인 손상이다. 외상, 수술, 화상 등으로 인한 혈관벽 손상이 발생하면 혈전이 생성되기 쉽다. 둘째, 과응고성(hypercoagulability)이다. 선천적으로 항응고 인자의 결핍이나 후천적으로 암, 임신, 경구 피임약 복용 등의 요인으로 인해 과응고 상태가 되면 혈전 생성이 증가한다. 셋째, 혈류 저하(stasis)이다. 장기간의 부동, 하지 마비, 비만 등으로 인해 혈액 순환이 저하되면 혈전 생성이 촉진된다. 이렇게 혈관벽 손상, 과응고성, 혈류 저하의 3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폐색전증의 원인이 된다.
1.3. 임상증상
폐색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갑작스러운 호흡곤란, 객혈, 그리고 흉통이다."폐색전증의 증상은 폐동맥 폐쇄 정도, 위치 및 혈관 크기에 따라 다르다. 폐색전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호흡곤란, 객혈과 흉통이다. 증상을 보이는 대상자는 20% 이하로서 대부분은 무증상이며 흉통, 흉벽의 압통, 마찰음 또는 급성 폐성심으로 인한 저혈압, 청색증 등이 나타난다. 폐색전증이 심하면 빠른호흡, 거품소리, 강한 S2심음, 바른맥, 발열, 식은 땀 S3*S4 gallop 심음, 심잡음, 청색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갑작스러운 복장뼈 아래 통증, 쇼크, 의식상실이 발생하고 사망할 수 있다. 증상이 없는 작은 색전이라도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폐혈관 부위가 점차 줄어들고 그 결과 폐고혈압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