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폐렴의 정의와 원인
1.1. 폐렴의 정의
폐렴(pneumonia)은 폐 실질조직의 염증으로 정의된다. 폐렴은 허파관과 폐포에 생기는 염증으로, 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 등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폐렴은 폐실질 조직의 염증으로, 주로 감염성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1.2. 폐렴의 종류
1.2.1. 바이러스성 폐렴
바이러스성 폐렴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렴으로, 세균성 폐렴보다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볼 수 있다. 모든 연령층의 아동에게서 나타나며, 바이러스성 상기도 감염과 연관되기도 한다.
바이러스성 폐렴의 치료는 주로 대증요법으로 이루어지며, 차게 가습된 산소 공급, 해열제 투여를 통한 열 관리, 수분 공급, 가족 지지 등의 방법으로 산소화와 안위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항균요법은 배양 검사에서 균 감염이 확인된 경우에만 투여하도록 한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세균성 폐렴에 비해 예후가 양호한 편이며, 대부분의 경우 대증요법만으로도 7-10일 이내에 급성기 질환이 호전되고 회복기 또한 약 1주일 정도 소요된다. 하지만 면역저하자나 고령자의 경우 합병증 발생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1.2.2.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은 가장 일반적인 질환이며 가을과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은 임상적으로 전형적인 세균성 폐렴의 증상을 보이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 질환은 폐렴연쇄구균이나 포도상구균과 같은 전형적인 폐렴균이 아닌 마이코플라스마, 클라미디아, 레지오넬라 등의 비정형성 병원균에 의해 발생한다""
감염된 아동의 대부분은 대증요법으로 7~10일이면 급성질환이 호전되며, 회복기는 일주일 정도 소요된다"" 비정형성 폐렴의 경우 폐렴구균과 같은 전형적인 세균성 폐렴에 비해 증상이 경미하고 호전 속도가 빨라 항생제 치료 없이도 회복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폐렴연쇄구균성 폐렴에 비해 합병증 발생 위험은 낮지만, 호흡부전, 패혈증, 뇌수막염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의 특징은 전형적인 세균성 폐렴과는 구분되는데, 발열, 기침, 가래, 흉통 등의 증상이 상대적으로 경미하고 서서히 발생하며, 백혈구 수치 상승이 적고 방사선 소견상 폐침윤이 국소적이거나 미만성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세균성 폐렴보다 중증도가 낮고 예후가 좋은 편이다""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은 주로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클라미디아 폐렴, 레지오넬라 폐렴 등이 포함된다"" 이들 병원체는 전형적인 세균성 폐렴균과는 달리 폐포 내 증식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특성이 있다"" 이로 인해 폐포 내 삼출물 형성이 적고 폐경화가 심하지 않아 방사선 소견상 폐침윤이 국소적이거나 미만성인 양상을 보인다""
또한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은 대부분 자가면역 반응에 의해 발생하며, 급성기에 혈청학적 검사에서 특이 항체가 검출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경우 5-30%에서 자가항체가 생성되며, 이로 인한 면역복합체 형성으로 인해 폐 이외의 장기 침범이 동반될 수 있다""
요약하면, 원발성 비정형성 폐렴은 전형적인 세균성 폐렴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증상이 경미하고 호전 속도가 빨라 항생제 치료 없이도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합병증 발생 위험은 낮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또한 자가면역 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폐 이외의 장기 침범이 동반될 수 있다""
1.2.3. 세균성 폐렴
세균성 폐렴"은 아동과 성인에게 모두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폐렴 유형으로, 주된 원인균은 폐렴연쇄상구균이다."" 세균성 폐렴이 있는 아동은 일반적으로 아파 보이며, 그 증상으로는 발열, 무력감, 빠르고 얕은 호흡, 기침 및 심호흡 시 심해지는 흉통 등이 포함된다."" 세균성 폐렴의 치료를 위해서는 항생제 요법, 침상 안정, 충분한 수분 섭취 등이 중요하다."" 세균성 폐렴이 심한 경우에는 뇌나 수막까지 감염증이 퍼질 수 있으며, 폐렴을 일으킨 병원균이 피 속으로 들어가서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고, 흉막염, 흉막삼출, 무기폐, 폐농양, 심낭염, 심내막염, 마비성 장폐색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1.3. 폐렴의 병태생리
폐렴은 폐 실질조직의 염증으로, 감염된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고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발병과정이 시작된다"" 염증은 간질강과 폐포, 세기관지에서 발생하며, 백혈구가 폐포 내로 이동하여 폐포벽이 두꺼워지고 적혈구와 섬유소가 폐포 내로 들어간다"" 이렇게 액체가 폐포를 채우면 이 액체가 세균을 쉽게 다른 폐포로 이동하게 만들어 감염을 확산시킨다"" 또한 폐의 환기 부족으로 저산소증이 유발되고, 저산소증과 대사 요구의 증가로 빈맥과 빠른 호흡 등이 발생한다""폐렴은 폐의 분절 또는 폐엽에서 경화가 발생하는 대엽성 폐렴이나, 기관지 주위에 널리 반점이 퍼지는 기관지 폐렴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