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문화정책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한국의 다문화 정책과 교육 현황
1.1. 다문화 교육의 개념
1.2. 한국인의 다문화 주의에 대한 이해
1.3.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의 흐름
1.4.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운영 현황
2. 한국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 지원정책 현황
2.1. 한국의 다문화 가정 현황
2.2. 다문화 가정 자녀가 겪는 문제
2.3. 다문화 가정 지원정책
3.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의료정책 분석
3.1. 다문화가정 보건의료정책 배경
3.2. 국내 및 해외 다문화가정 정책 현황
3.3. 다문화가정 정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한국의 다문화 정책과 교육 현황
1.1. 다문화 교육의 개념
다문화교육은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모든 사람들이 동등하게 존중받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다문화 교육의 중요한 목표는 학생들에게 평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Banks(1993)는 다문화교육을 소수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민족적, 문화적 정체성과 다양성이 증대되는 세계를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지식, 가치, 기술과 태도를 기르도록 하는 전체적인 교육개혁이라 하였다.
Suzuki(1984)는 다문화 교육의 목표를 소수 민족, 인종의 소외와 불공평을 초래하는 역사적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 요소들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더욱 나아가서 인간적이고 정의롭고 동등한 사회를 이룩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능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Bennett(2011)은 다양한 문화의 역사적인 시각을 납득하고 거기에 더하여 문화적 의식을 발달시키며, 학생들로 하여금 민주주의 가치를 배우고 문화적 다원주의 및 교육적 평등에 대한 사고를 발달하도록 목표한다고 하였다.
장인실(2006)은 다문화교육을 "인종뿐만 아니라 여러 문화집단에 속해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상호 이해와 평등 관계를 중시하고 성별, 종교, 사회적 지위, 민족, 이념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집단 간의 문화에 대한 편견을 줄이고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지식, 태도, 가치를 교육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처럼 다문화교육은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 요구되는 가치, 태도, 지식, 기술 등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총체적인 교육으로 모든 학생들이 교육의 대상이며 계속해서 필요한 교육이다."
1.2. 한국인의 다문화 주의에 대한 이해
한국인의 다문화 주의에 대한 이해는 다문화교육 정책의 핵심적인 부분이다. 우리나라는 오랫동안 단일민족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 전후부터 외국인 근로자, 국제결혼 이주자, 중도입국자, 북한 이탈자 등 다양한 이주민들이 유입되면서, 우리 사회는 다인종, 다문화적 특성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교사들은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인식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을 문화이해교육, 외국어교육, 한국 사회 적응 교육, 학교적응 교육, 정체성 확립 교육, 공동체의식 교육 등으로 이해하고 있다. 이는 다문화교육이 국제결혼 가정과 외국인 근로자 가정의 자녀들의 한국 사회 적응을 지원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도 크게 개선되지 않은 상황이다. 다문화교육이 소수민족, 인종 등을 위한 교육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은 특정 집단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다문화 사회에서 모든 구성원이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 사회의 다문화 주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다문화교육 정책이 추진되어왔다. 따라서 향후 다문화교육 정책을 수립할 때는 전체 국민의 다문화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단일민족 국가에서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편견을 해소하고,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는 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1.3.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의 흐름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 정책은 2006년부터 2016년까지 크게 세 가지 목표를 제시해왔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는 한국사회로의 동화정책, 다문화적 개념 형성, 역량 계발이 그 목표였다. 그러나 2012년부터 2016년에는 교육기회의 평등이 주된 목표로 변화했다. 즉, 동화정책과 교육기회 평등을 강조해왔던 것이다.
정부는 2006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수립하면서 다문화교육 정책을 시작했다. 이후 2008년과 2010년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다문화 학생의 교육권을 보장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불법 체류자 등의 부모 신분을 증명할 수 없는 경우에도 거주 증명만으로 편·입학을 허용했다. 또한 2013년에는 다문화 학생의 학력인정 근거를 마련하고 특별학급을 운영하기도 했다.
2021년 교육부의 다문화교육 지원계획에 따르면, 주요 추진 과제는 ①출발선 평등을 위한 교육기회 보장, ②학교 적응 및 안정적 성장 지원, ③다양성이 공존하는 학교 환경 조성, ④다문화교육 지원체제 내실화 등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 공교육 진입 절차 지원, 유치원부터의 지원체계 마련, 맞춤형 한국어 교육 강화, 다문화교육 전략 모델 개발 및 확산 등의 세부 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한편,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사업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왔다. 2012년에는 "예비학교"와 "...
참고 자료
Banks.J.A, The cannon debates, knowledge construction(1993), and multicultural education
Bennett,C.I.,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7th ed)(2011)
Sleeter, C. E. & Grant. C. A, Making choic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ive approaches to race, class, and gender (2008). 문승호, 김영천,정정훈(역), 다문화교육의 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2009),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Suzuki, B. H, Curriculum transforma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1984), Education and Urban Society, 16.
강대중, 2021년 다문화교육 사업 성과공유회(2021),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구정화, 박윤경, 설규주, 다문화교육 이해(2009), 서울: 동문사
국가교육통계센터(2020)
교육부,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2021)
김범수, 김현희, 정명희, 알기 쉬운 다문화교육(2010), 파주: 양서원
김한길·소경희, 한국의 다문화교육정책 문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성격의 변화 양상 분석 다문화교육연구(2018), 11(2), 59-83.
박종대, 한국 다문화교육정책 사례 및 발전 방안 연구 - 상호문화주의를 대안으로(2017),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희진, 다문화교육 관련 이슈와 정책적 시사점: 외국인주민 200만 시대 모든 교원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필요성(2021),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 통권 220호
뱅크스(Banks.J.A.), 모경환 외 역, 다문화교육입문 5판(2016), 아카데미프레스
신혜진, 다문화학생 지원 정책사업의 중복성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2018)
이민경, 한국다문화교육정책 전개과정과 담론분석: 교과부의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정책(2006-2009)을 중심으로(2010),한국교육 제37권 제2호, 한국교육개발원
이륜,장경원,학교의 다문화교육 평가도구 개발(2016), 한국교육 제43권 제2호, 한국교육개발원
장인실, 미국 다문화 교육과 교육과정(2006),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4권 4호, p27~53.
중앙다문화교육센터, 다문화교육 실제 운영 프로그램 사례(2019)
아산정책연구원(www.asaninst.org), 닫힌 대한민국 : 한국인의 다문화 인식과 정책
최영준, 다문화 교육 정책의 변화와 개선방안(2018),숭실대학교 , 한국평생교육HRD연구소평생교육 · HRD연구평생교육 · HRD연구 제14권 제2호, p55 - 75 (21 pages)
한승준, 프랑스 동화주의 다문화정책의 위기와 재편에 관한 연구(2008). 「한국행정학보」, 42(3): 463∼486
임은의 and 박미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과 자녀진로지원행동의 관계: 자존감의 조절효과" 다문화와 평화 15, no.2 (2021): 136-156.doi: 10.22446/mnpisk.2021.15.2.006
김준환, [아이를 키우는 기술 ‘부모교육’], 중도일보, 2021.07.20.
권선미, [다문화 학생 학생 3% 시대] ②따돌림• 입학 거부… 연필 놓는 아이들, 연합뉴스, 2021.10.12.
이지안,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수 222만명…7.9% 증가, CCTV News, 2010.10.30.
윤우성, [다문화 학생 학생 3% 시대] ①서울 한 중학교는 “10명 중 4명꼴”, 연합뉴스, 2021.10.12.
권선미, [다문화 학생 학생 3% 시대] ②따돌림• 입학 거부… 연필 놓는 아이들, 연합뉴스, 2021.10.12.
김영혜, 2018, 결혼 이주여성의 건강문제와 정책과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김 욱, 2006, 주요 선진국가의 다문화정책 방향 비교 분석: 한국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연구원
김혜련, 2010, 다문화가정의 건강 및 보건의료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윤지은, 2018, 다문화가정 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면숙, 2009, 우리나라 보건의료 관련 다문화 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 노인건강연구센터
정천석, 강기정,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조은수, 양숙자, 2020,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관련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통계청(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