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1. 다문화가정 보건의료정책 배경
2. 다문화가정 보건의료정책 필요성
Ⅱ. 본론
1. 국내 및 해외 현황
2.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현대사회는 급속도로 세계화‧개방화 추진에 따라 세계가 하나의 공동체로 묶이면서 국제적인 교류가 증가하고 다양한 목적으로 최근 우리나라에 노동이주자와 국제결혼이민자 등 많은 수의 외국인들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다. 2019년 말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약 250만 명으로, 2018년 대비 6.6% 증가했고 최근 5년간 매년 8.6%의 증가율을 보였다.
전 세계적인 정보기술의 확산으로 인한 국내로의 외국인 이민이 증가함에 따라 ‘다문화가정’으로 불리는 새로운 인구계층도 등장하게 되었다. 다문화가정이란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국제결혼 가정으로 부모 중 한쪽이 한국인으로 구성된 가정을 말한다. 즉,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고향을 떠나 새로운 곳에서 새로운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1. 다문화가정 보건의료정책 배경
다문화가정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1.7%에 불과하지만, 최근 5년간 다문화가정 출산한 자녀의 비중은 전체 출생아 중 4.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현재 전체 학생의 1.69%, 약 10만 명의 다문화·외국인 학생이 재학 중이다. 하지만 이처럼 우리 사회는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에도 국민들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낮은 편이다. 다문화 정책의 주요 대상인 결혼이민자는 30만 5천 명이며, 다문화가족은 결혼이민자와 그 배우자를 포함하여 2019년 7월 기준 82만 명이다. 결혼 이주여성은 출산 및 육아와 관련된 문제가 가장 많이 따르게 되고, 이는 결혼 이주여성 자신뿐만 아니라 가정의 건강과도 직결되는 문제이다. 또한 이들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집단으로 언어문제, 문화적 갈등, 경제적 어려움, 제도적 차별, 사회적 편견 등으로 가족갈등, 가족 해체, 자녀 양육의 어려움, 사회적 소외 등을 경험하게 된다.
참고 자료
김영혜, 2018, 결혼 이주여성의 건강문제와 정책과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김 욱, 2006, 주요 선진국가의 다문화정책 방향 비교 분석: 한국에 주는 정책적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다문화연구원
김혜련, 2010, 다문화가정의 건강 및 보건의료 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윤지은, 2018, 다문화가정 정책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면숙, 2009, 우리나라 보건의료 관련 다문화 정책의 현황과 과제: 간호학적 측면에 대한 고찰, 노인건강연구센터
정천석, 강기정,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조은수, 양숙자, 2020, 베트남, 중국 결혼이주여성의 건강문해력 관련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
통계청(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