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보건의료환경 내에서 협력 리더쉽"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보건의료팀 내 협력과 조정
1.1. 협력과 조정의 이론적 배경
1.1.1. 협력과 조정의 개념 및 의의
1.1.2. 영역별 업무조정 및 협력
1.2. 간호사의 업무조정과 협력의 의미
1.2.1.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 규정
1.2.2. 업무의 균형 맞추기
1.2.3. 업무조정을 통한 갈등 조정
1.2.4. 업무조정의 어려움
1.3. 간호사의 조정자와 협력자로서의 역할
1.4.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을 위한 협력 관계의 필요성
1.5. 보건의료팀 내 협력 사례
1.5.1. 협력이 잘된 사례
1.5.2. 협력이 잘 되지 못한 사례
1.5.3. 협력이 잘 되지 못한 경우의 원인 분석
1.5.4. 보건의료팀 간의 협력관계 개선을 위한 해결방안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보건의료팀 내 협력과 조정
1.1. 협력과 조정의 이론적 배경
1.1.1. 협력과 조정의 개념 및 의의
협력은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하여 서로 힘을 합하여 함께 노력하는 것이며, 조정은 조직구성원으로 하여금 조직의 공동 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활동을 집중하도록 통합화해주는 과정이다. 이는 의사소통을 통해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하고 적절한 자원을 배분하여 상호 원활한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협력과 조정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질적 케어 서비스를 전달하고 서비스 제공자 간 의사소통을 증진시킨다. 둘째, 만성질환자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셋째, 보건의료 체계나 지역사회에서 책임과 권한을 나누고 통합하여 케어의 질과 건강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협력과 조정은 보건의료서비스의 질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불가결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1.2. 영역별 업무조정 및 협력
보건의료 서비스에서 업무조정 및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보건의료팀은 환자 중심의 통합적인 케어를 제공하기 위해 영역별로 업무를 조정하고 협력해야 한다.
환자와 가족의 측면에서 보면, 보건의료팀은 환자의 요구도와 선호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이에 맞춰 협력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환자가 병원에서 지역사회로 이동할 때 담당자와 기관 간 정보공유와 협력이 필수적이다. 그렇지 않으면 환자는 단절된 서비스를 받게 되어 불편을 겪을 수 있다.
보건의료 전문가의 측면에서도 팀 기반의 협력적 활동이 중요하다. 각 전문가는 환자의 요구를 정확히 사정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다른 전문가와 긴밀히 소통하며 정보를 공유하고 역할을 조정해야 한다. 간호사와 의사 간 협력은 특히 중요한데, 이들은 환자에게 가장 빈번히 접촉하며 치료와 간호의 중심에 있기 때문이다.
보건의료 체계 차원에서도 기관 간 서비스 연계와 통합이 필요하다. 환자에게 질 높은 케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기관과 전문가가 상호 협력하여 환자 중심의 통합적 서비스를 구축해야 한다. 이를 통해 중복된 노력을 방지하고 환자의 요구에 맞춘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종합하면, 보건의료팀 내 업무조정과 협력은 환자 중심 케어, 의료 질 향상, 의료사고 예방 등을 위해 필수불가결하다. 따라서 보건의료 현장에서는 전문가 간 역할 정립, 효과적인 의사소통, 상호 존중의 문화 등을 통해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강화해 나가야 한다.
1.2. 간호사의 업무조정과 협력의 의미
1.2.1.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 규정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 규정은 다음과 같다.
간호사는 환자를 직접 돌보는 의료 인력으로, 병원 조직 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모니터링하며, 처방에 따라 투약 및 주사 등의 처치를 시행한다. 또한 환자 및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환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맞춤형 간호를 제공한다.
간호사의 구체적인 업무 규정은 관련 법령과 의료기관의 내부 규정에 명시되어 있다. 간호법에 따르면 간호사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환자의 간호, 진료의 보조, 질병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활동을 수행한다. 또한 간호사는 환자의 간호를 위하여 간호진단, 간호계획의 수립, 간호활동의 제공 및 간호결과의 평가 등의 간호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이처럼 간호사는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핵심 주체로, 의사 등 타 의료진들과의 긴밀한 협력 하에 전문적인 간호를 수행한다. 따라서 병원 내에서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 범위는 명확히 정의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간호의 질적 향상과 의료서비스의 안전성 제고가 가능할 것이다.
1.2.2. 업무의 균형 맞추기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간호사는 업무의 균형을 맞추어야 한다""
병원 조직에서 간호사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해야 ...
참고 자료
이광식.2022.04.29. 제주 2살 코로나 사망사고...간호사들 “터질 게 터졌다” 한경사회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4280136i
정호기, & 양야기. (2018). 병원 간호사의 갈등과 갈등 해소 경험.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7(1), 13-24.
이영주.(2016). 병원간호사의 간호사 및 의사와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의료 오류 경험, 직무 만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대학원.
김종래 외(2009), 병동에서의 전문인력 간 업무협력에 대한 의사 및 간호사의 인식, 수문사.
박은숙(2001), 보건 간호사의 건강증진사업 수행 현황과 역할 확대 방안 모색을 위한 연구, 한국 간호 과학회.
염영희 외11인 공저(2020). 학습 성과 기반 간호관리학, 경기, 수문사.
장금성 외(2012), 간호 윤리학과 전문직, 현문사.
정면숙 외7인 공저(2016). 알기 쉽고 현장감 있는 간호관리학, 서울,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00037&cid=40942&categoryId=31910. (22. 10. 05)
한국의약통신. 이제는 ‘팀의료’ 시대! [200호 특집]. 메디컬, https://www.km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88. (22. 10.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