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생충 비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영화 기생충의 개요
1.2. 영화 분석의 필요성
2. 영화 기생충 분석
2.1. 줄거리 요약
2.2. 상징적 요소 분석
2.2.1. 수석
2.2.2. 냄새
2.2.3. 물과 비의 수직구조
2.2.4. '선'의 개념
2.2.5. 계획과 무계획
2.2.6. 인디언과 모스부호
2.3. 사회비판적 요소
2.3.1. 불합리한 취업시장
2.3.2. 중산층의 허상과 피지배층 간의 갈등
2.3.3. 프랜차이즈 산업과 소시민들의 생각
3. 영화 이론 적용
3.1. 에이젠슈타인의 몽타주 개념
3.2. 발터 벤야민의 영화 이론
3.3. 발라즈와 드뢰즈의 영화 이론
3.4. 봉합이론의 연속성 몽타주
4. 결론 및 평가
4.1. 영화 기생충의 의의와 한계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영화 기생충의 개요
영화 '기생충'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좁은 반지하 방에 살며 생계가 막막한 기택 가족은 우연한 기회에 박사장네 집에 들어가 일자리를 얻게 된다. 기우는 박사장의 딸 다혜의 과외선생이 되고, 기정은 다혜의 동생 과외교사로 들어가며, 기택은 운전기사, 충숙은 가정부로 취업한다. 이들은 점점 박사장네 집을 잠식해 나가지만, 갑자기 이전 가정부 문광이 나타나면서 위기가 시작된다. 기택 가족은 지하실에 문광 부부를 가둔 채 박사장 가족의 정원 파티에 참석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택은 박사장을 살해하게 되고, 이후 혼란과 폭력이 발생한다. 영화는 기택 가족과 박사장 가족 사이의 대립과 갈등을 핵심으로 다루며, 계층 간의 차이와 계급 갈등을 비판적으로 다루고 있다.
1.2. 영화 분석의 필요성
영화 분석의 필요성은 영화가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하나의 매개체이기 때문이다. 영화 속에는 감독의 철학과 메시지, 그리고 당시의 사회 문화적 특징이 녹아있어 이를 분석함으로써 영화가 만들어진 배경과 메시지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영화 기생충의 경우, 현대 사회의 계층 갈등, 불평등, 부정부패 등 다양한 사회 문제를 다루고 있어 이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필요하다. 영화 기생충의 줄거리, 상징적 요소, 사회비판적 요소 등을 세밀히 분석함으로써 감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와 영화가 당시 사회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현실 사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앞으로의 변화와 발전 방향에 대해 고찰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영화 기생충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2. 영화 기생충 분석
2.1. 줄거리 요약
영화 <기생충>의 줄거리 요약은 다음과 같다.
'기생충'은 네 명의 가족이 좁은 반지하 방에서 어렵게 살아가는 것으로 시작한다. 기우는 명문대를 다니는 친구 민혁이 교환학생을 가게 되어 자신의 과외 학생인 다혜를 부탁하며, 기우는 위조 서류를 이용해 다혜의 과외 교사로 취직한다. 이를 계기로 기우는 점차 박사장 가족의 신임을 얻으며 가족들을 박사장 집에 들어가게 한다.
기택 가족은 운전기사와 가사도우미를 모함해서 쫓아내고, 그 자리에 기택과 충숙을 들여보낸다. 이로써 온 가족이 박사장의 집에 기생하게 된다. 그러던 중 박사장의 가정부였던 문광이 자신의 남편을 숨겨뒀던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국을 맞이한다. 문광과 그녀의 남편을 지하실에 가두고자 하던 중 문광의 남편에 의해 기정이 살해당하고, 기택이 박사장을 살해하게 된다. 결국 기택은 박사장의 집 지하실에 숨어 있게 되고, 기우는 아버지를 위해 그 집을 사겠다고 다짐한다.
종합하면, 이 영화는 기택 가족의 반지하 생활에서 박사장 가족의 고급 주택으로 기생하다 파국으로 치닫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2.2. 상징적 요소 분석
2.2.1. 수석
수석은 영화 '기생충'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요소이다. 먼저 수석은 기우의 친구 민혁이 기택의 가족에게 준 선물로 등장한다. 민혁은 수석이 "재물과 운"을 가져다 준다고 말하며 기택 가족에게 수석을 건넨다. 이에 대해 기택의 아내 충숙은 "먹을 것이나 가져오지"라며 수석을 필요 없는 것으로 치부하지만, 기택과 기우는 수석이 대단한 것이라며 감탄한다. 이처럼 수석은 처음에는 재물과 운을 상징하는 긍정적인 의미로 나타난다.
그러나 영화가 진행됨에 따라 수석은 점점 부정적인 의미를 지니게 된다. 기우가 홍수가 난 밤에 집에 돌아와 유일하게 가지고 온 것은 바로 수석이었다. 그리고 기우는 "이게 나한테 붙었어요"라고 말하며, 이후부터 충동적이고 살의를 가진 행동을 보이기 시작한다. 즉, 수석이 기우를 해롭게 이끄는 기생충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
수석은 결국 기우가 문광 부부를 죽이러 내려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기우는 수석을 들고 지하실로 내려가지만, 수석을 실수로 떨어뜨리면서 계획이 실패하게 된다. 이후 문광의 남편에 의해 수석으로 기우의 머리를 맞게 되는데, 이는 수석이 모든 비극의 시작점이 되었음을 보여준다.
결국 처음에는 재물과 운을 상징했던 수석이 점점 기우를 파멸로 이끄는 기생충과 같은 존재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이를 통해 영화는 겉으로 보이는 긍정적인 요소들이 실제로는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2.2.2. 냄새
냄새는 이 영화에서 굉장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택이 박사장을 죽이게 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냄새이기 때문이다.
처음에 냄새를 언급한 것은 다송이다. 다송은 제시카 선생님인 기정, 가정부인 충숙 그리고 기사인 기택에게서 모두 같은 냄새가 난다고 말한다. 기택의 가족은 당황하지만 박사장의 가족은 다송의 말을 대수롭지 않게 여긴다.
하지만 후에 박사장은 기택에게서 나는 냄새에 대해서 언급한다. 다른 기택의 가족들과 달리 기택과는 함께 차에 타다 보니 아마 박사장은 기택에게서 나는 냄새를 맡을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아내에게 이를 지하철과 같은 냄새라고 말하며, 다른 것은 선을 넘지 않는데 냄새는 선을 넘는다고 한다. 냄새만은 기택이 제어할 수 없었던 것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냄새는 가난을 말한다. 가난한 동네에 가면 확실히 부자 동네와는 다른 냄새가 난다. 또한 기택이 살았던 환경 역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창문 밖에서 노상방뇨를 하는 취객이 지나갔었다. 또한 기정은 다송이 냄새에 대해서 이야기 한 날, 가족들...
참고 자료
기생충 (PARASITE, 2019), 봉준호 감독
기생충, 감독 봉준호, 2019.05.30
기생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1348&cid=46638&categoryId=46638
수석,『네이버지식백과』, e뮤지엄, http://www.emuseum.go.kr/
“봉준호 ‘칸은 벌써 과거, 관객 반응이 궁금하다…변장하고 극장 찾아 볼 생각’”, 경향신문, 2019.05.28 22:10,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01 (2019. 11. 28)
’대만카스테라’교훈을 잊지 말아야하는 이유』, 경제 유캐스트, 2019.11.28,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6394693&memberNo=40258112&vType=VERTICAL
토마스 엘새서말테 하게너/윤종욱, 『영화이론, 영화는 육체와 어떤관계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2.06.11
김현강, 『발터 벤야민의 사유에 나타난 주체, 이미지, 기술 사이의 관계』, 인문논총 제69집, 2013
180도 법칙,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http://www.pmg.co.kr
김민영, 『<기생충>비평 “아무도 비판하지 않는 이상한 <기생충>”』, 네이버블로그, 접속일자. 2019.11.30, https://blog.naver.com/hwayli/221576311601
김광혁, 『영화 기생충, <수석>을 해석하는 방법』, 브런치, 접속일자 2019.11.30
“봉준호 감독이 말하는 ‘기생충’속 상징과 은유”, 문화일보, 2019.06.12,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412053001
“’기생충’ 이선균이 생각하는 ‘선을 넘는다는 것’”, 노컷뉴스, 2019.06.11 04:05,
https://www.nocutnews.co.kr/news/5164605
『영화 기생충에서 아버지 기택은 왜 계획이 없고 기우는 계획이 있을까?』, 티스토리, 접속일자. 2019.11.30, https://photohistory.tistory.com/18589
“영화 ‘기생충’에 설정된 인디언의 의미는?”, 뉴스웨이, 2019.05.27 10:09,
http://www.newsway.kr/news/view?ud=*************222836
『봉준호 감독 영화 기생충 핵심 소재 분석 및 해석 – 선, 냄새, 계획』, 티스토리, 접속일자. 2019.11.30, https://zomzom.tistory.com/3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