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다문화가정 지원 위한 대외행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다문화가정 지원 정책과 제도
1.1. 다문화가정 지원 법 및 제도
1.2. 다문화가정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1.3. 다문화가정 지원 정책의 발전 및 개선 방안
2. 한국 사회의 다문화 현황과 문제점
2.1. 한국의 다문화 사회 현황
2.2. 다문화가정의 인권 차별 문제와 해결 방안
3. 가족지원 서비스 기관의 지원 사업
3.1.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지원 사업
3.2. 사회복지관의 가족지원 사업
3.3. 참여하고 싶은 사업과 그 배경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다문화가정 지원 정책과 제도
1.1. 다문화가정 지원 법 및 제도
다문화가정 지원 법 및 제도는 다문화가족의 구성원들이 안정적으로 가족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삶의 질 향상 및 사회통합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현행 다문화가족 지원법은 2008년 3월에 제정되어 9월에 시행되었다. 다문화가족지원법 제2조에 따르면 다문화 가족의 범위는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따른 결혼이민자나 국적법에 따라서 출생 이후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으로 이루어진 가족, 국적법 4조에 의하여 귀화허가를 받았거나 제2조에 따라서 출생 이후 대한민국 국적 취득자로 이루어진 가족, 결혼이민자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족의 경우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제2조 3호의 결혼이민자나 국적법 제4조에 따른 귀화 허가자가 해당된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법에 따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이들이 안정적으로 가족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필요로 하는 제도 및 여건을 조성하고 관련 정책을 수립 및 시행해야 한다. 그리고 보건복지부 장관은 다문화가족을 지원하는 전문인력과 관련 시설을 갖추고 있는 법인 및 단체를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지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족을 대상으로 교육, 상담, 지원서비스 정보 제공, 관련 단체 서비스 연계 등의 사업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1.2. 다문화가정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
현행 다문화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은 지역별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지원 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데, 초중고 다문화가정 학생들을 위한 이중언어 프로그램과 성인 다문화 인구를 위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으로 구분되어 있다.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은 개별 수준에 따라 5단계 형태로 운영되며 한국어 토픽 시험 응시를 위한 중급 및 고급반도 함께 운영하고 있다.
다음으로, 다문화 가족 통합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데, 가족, 성평등, 인권, 사회통합의 4가지 주제에 맞추어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가족 간 의사소통 및 자녀교육 프로그램, 다문화 가정 배우자 부부교육 및 부부 간 갈등해결 프로그램, 다문화 이해교육 및 인권감수성 향상교육과 다문화가족 관련 법과 제도 교육 프로그램, 다문화인식개선 프로그램 등이 있다.
또한, 다문화 가족에 대한 가족상담 및 개인상담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위기가족 긴급 지원프로그램이나 필요할 경우 외부 전문 상담기관과의 연계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해서는 언어발달 지원서비스와 육아정보나눔터, 공동육아센터 등이 운영되고 있다. 또한 한국학교 시스템 적응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 학교생활 길라잡이 책자 발간과 학교 가정통신문, 각종 학교 신청서 통번역 서비스도 지원하고 있다.
이 밖에도 다문화가족 구성원들의 초기 정착과 취업 지원을 위해 워크넷 등록 및 연계, 취업기초 소양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다.
다문화 홍보와 지역사회 통합을 위해서는 지역 기업 연계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 다문화 페스티벌 지역 축제 개최, 각국 출신 다문...
참고 자료
통계청(2018). 다문화가정이 겪는 어려움. KOSIS.
문혁준(2021). 건강가정론. 창지사.
정주연(2012). 인권교육, 날다: 다문화, 인권을 만나다. 인권오름 282호.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2008). 사회복지와 인권. 평택대학교.
송홍근(2019). 1977년생 이자스민이 꿈꾸는 대한민국. 신동아.
교안, 건강가족론
강창현 저, 가족지원서비스공급을 위한 건강가정지원센터 사업구조 연구, 한국가족학회, 제18집 제2호, 165~189p, 2006
이원규‧김재일 저, 건강가정지원센터 중심의 한국가족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한국사회정책학회, 제14권 제1호, 212~255p, 2007
충주종합사회복지관, http://www.cjsw.kr/contents/main/
충주시 건강가정지원센터, https://cjfc.familynet.or.kr/center/index.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