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집단상담의 단계와 과정
1.1. 초기단계(준비단계)
초기단계(준비단계)에서는 안정되고 신뢰할 만한 집단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임스와 앤드류처럼 초기에 구성원들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전형적인 집단 초기모습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담자는 2인 1조로 대화할 기회를 제공하여 구성원을 이해하고 신뢰감을 형성하게 한다. 집단규범이 1~2회로 생기는 것은 어렵지만 모든 구성원이 말할 기회를 가지는 것은 집단상담에서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집단 초기부터 모든 구성원이 참여해야 한다는 규범이 형성되도록 시도한다. 또한, 너무 남을 의식하면 자신의 문제를 노출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신이 상담과정에 방해가 된다는 생각을 버리고 자신의 문제이 인식되면 바로 말하도록 독려한다. 제임스, 제클린의 인종문제나 대런, 제이시, 질의 가족문제 같은 공통된 주제가 상담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제클린이 질에게 느낀 것처럼 공통된 주제가 없으면 소외감이라는 방어기제가 발동되기도 한다. 그러나 자신의 방어기제를 아는 것 또한 중요하기 때문에 그러한 감정도 표현하도록 독려한다.
1.2. 과도기단계(전환단계)
과도기단계(전환단계)에서는 신뢰감이 형성되면서 개인적 문제들이 좀 더 분명하게 드러나게 된다.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다른 구성원, 집단, 상담자에게 아직 완전한 신뢰감이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구성원 자신의 방어기제인 망설임, 저항, 방어 등에 의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케이시는 작업할 준비가 완료되었지만, 집단이 아직 완전히 안전하다고 느끼지 못하여 자신의 문제를 다루게 되면 다른 구성원인 수잔과 제클린이 자기를 오해할 것이라 확신하여 자신의 문제를 공유하지 못한다. 이러한 저항은 자신을 보호하려는 하나의 방어기제이기 때문에 구성원의 저항현상을 무시하기 보다는 그것을 존중해준다. 그리고 구성원 스스로가 자신의 두려움을 표현하도록 독려하여 그것을 직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따라서 상담자는 케이시가 자신의 문제를 공유하기 전에 케이시가 지적한 구성원과 안정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이다.
1.3. 작업단계(생산단계)
작업단계(생산단계)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