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 똥』과 『몽실 언니』,『무명저고리와 엄마』,『한티재 하늘』를 지은 아동문학가이자 문인, 사상가인 권정생 선생. 이 책은 1주기를 맞아 발간된 『우리들의 하느님』개정증보판으로, 저자 자신의 생애와 생활의 단상을 서술한 산문들을 엮은 것이다. 이 개정증보판에는 《우리들의 하느님》이...
2010년 8월 27일, 63세로 타계한 '우리 시대의 이야기꾼' 이윤기의 유고 산문집. 37편의 산문과 함께, 책의 말미에 번역가인 딸 이다희가 아버지 이윤기를 추모하며 쓴 글 '아버지의 이름'을 수록하였다. 동서양의 역사와 문화, 신화 등을 넘나드는 풍부한 인문교양이 이윤기 특유의 해학과 재치가 어우러진 재미있는 에피소드들로 맛있게 버무려졌다.
자신의 체험을 시종 명징한 언어와 유쾌하고 아름다운 문장으로 펼쳐 놓곤 했던 이야기꾼 이윤기가 마지막으로 풀어놓은 이야기보따리다. 인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삶의 가능성을 진지하게 탐문하는 행동하는 철학자, 또한 진정한 자유인이기도 했던 이윤기의 혜안과 주옥같은 명문을 만나볼 수 있다.
모두 5부로 구성되었다. 1부 '날마다 지혜를 만나다'에서는 자연에 얽힌 단상을, 2부 '내가 뿌린 씨앗, 내가 거둔 열매'에서는 저자의 일상과 지인들과의 추억을, 3부 '위대한 침묵'에서는 신화와 고전, 문화에 관한 이야기들을, 4부 '부끄러움에 대하여'에서는 세태 비평과 우리 사회에 대한 깊은 통찰을, 그리고 5부 '어머니는 한 번도 날 무시하지 않았다'에서는 어린 시절부터 최근의 모습까지 저자의 개인적인 이야기들을 진솔한 음성으로 들려준다.
그것은 『익숙한 새벽 세시』의 진가가 발휘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이 책은 서른다섯의 가수 오지은의 어른 적응기다. 꼬박 2년이라는 시간을 회색의 세계에서 지내며, 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을 실험해본 저자는 그것을 이 책에 남김없이 기록했다. 회색의 세계, 성장이 없는 세상, 단단하게 박힌 돌이 가득한 길을...
가수 최백호가 작가로서 출간하는 첫 산문집!
우리가 잃어버린 모든 것들은 아름다운 모습으로 다시 찾아온다
시간은 차곡차곡 쌓여 세월이 된다. 세월에는 빛나는 순간도 있고 지워버리고 싶은 부끄러운 순간도 있다. 최백호는 잃어버린 그 모든 순간들이 사실은 “낭만이었구나”라고 말한다. 빛나는 순간을 소중하게 기억하고 부끄러운 순간을 디딤돌로 삼는 삶은 짧은 찰나조차 아름답게 창작해낸다. 잃어버린 빈자리에서 아름다운 창작물이 생겨나는 것이다. 그가 창작한 진정성 어린 음악, 미술 작품들처럼 그의 글은 ‘진정성’으로 가득하다. 그가 재현하고 구축하는, 책이라는 물성으로 만들어낸 창작물은 소박하지만 또 자신의 신념에 있어서만큼은 타협하지 않았던 기록들이 담겨 있다.
의사를 꿈꾸는 이들에게 위로와 용기를 전하다!
『젊은 히포크라테스를 위하여』는 우리나라 핵의학의 리더로 활약하고 있는 정준기 교수가 40여 년 가까이 의사의 길을 걸어오면서 학교와 의료 현장에서 느꼈던 일들을 엮은 산문집이다. 이 책에는 저자가 의학도에서 의사로 성장하는 과정과 치열한 학업과 삶과 죽음을 가르는 의료현장에서의 경험, 의사로서의 고민과 후학에 대한 당부가 담겨 있다. 학창시절에 고군분투하며 공부하던 모습과 의사의 길을 선택하여 치열하게 일하며 핵의학계의 리더가 되기까지의 여정을 차분하고 담담한 목소리로 그려내고 있다. 진정한 의사로서의 삶과 고민이 담겨 있는 이 책은 의사를 꿈꾸는 젊은이들에게 멘토의 역할을 하며, 크고 작은 에피소드는 읽는 재미를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