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이라는 관점에서 영국이라는 나라를 구석구석 통찰하며 들여다본 영국문화 안내서이다. 1부에서는 영국의 역사를 비롯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언론, 방송, 교통, 습관, 날씨, 교육, 왕실과 귀족제, 시민의 일상 등을 통해 영국이 '왜 어떻게 이성적이고 합리적인지'를 살펴보며, 2부에서는 케임브리지...
세계화를 무한 경쟁으로, 자유 무역을 시장 경쟁으로 대치시키면 오늘날 가난한 나라에 적용되는 설명은... 과연 국내 빈곤층이 겪는 가난의 문제는 그들의 의식 부족, 개인적·환경적 약점에서 비롯되는 것인가? 『부자나라는 어떻게 부자가 되었고 가난한 나라는 왜 여전히 가난한가』는 장하준 교수가 '경제학...
‘삶을 위한 수업’은 무엇으로 가능할까? 이 책은 한국특파원으로 활동하며 3년 동안 세 아이를 서울에서 키운 덴마크 저널리스트 마르쿠스 베른센... ‘행복한 사회, 행복한 삶’의 출발은 ‘행복한 교육’에 있다는 데 뜻을 같이한 두 사람은 한국의 교사, 학부모들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덴마크 교사들을...
성공한 나라,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 부유한 나라의 시민은 왜 불안할까? 가진 자는 가진 자대로, 없는 이들은 없기에 더 불안한 이 사회에서 모두가 함께 안전하고 행복한 사회와 나라는 정녕 불가능한 이상향일까? 대한민국은 기로에 서 있다. 촛불 이후, 드높은 기대가 실망으로 바뀌었다고 해도 희망을 멈출...
안철수,
우리의 생각이 미래를 만든다
_ 유럽에서 찾은 공정하고 행복한 나라의 조건『안철수, 우리의 생각이 미래를 만든다』에서 안철수 전 대표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3가지 비전으로 ‘행복한 국민, 공정한 사회, 일하는 정치’를 꼽는다. 유럽에는 다양성의 측면에서 우리가 배웠으면 하는 전략과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