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의존자 더이상은 없다』는 자신의 삶이 영향을 받으며 자신의 삶을 걱정과 집착으로 채워 가는 사람들인 공동의존자의 회복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총 2부로 공동의존이란 무엇인가, 누가 공동의존자인지 공동의존자들의 이야기와 특징을 살펴보고 2부에선 자기 돌봄의 원칙을 통해 의존하지 않는 법...
‘셀프서비스’라는 이름의 사소한 일들에 점령당한 현대인의 하루!
스팸 메일을 지우느라 시간을 허비한 적이 있는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입하면서 공인 인증서의 벽에 가로막힌 적이 있는가? 『그림자 노동의 역습』은 바쁜 현대인의 삶을 더욱 분주하게 하는 ‘그림자 노동’의 실상을 파헤친 책이다. 《하버드 매거진》에서 편집자로 20년 넘게 활동해온 저널리스트 크레이그 램버트는 오스트리아의 사회사상가 이반 일리치가 주장한 ‘그림자 노동’의 개념에 착안해 오늘날 현대인이 보수가 없지만 기본적으로 수행해야 할 일들로 인해 얼마나 바쁜 나날을 보내는지를 날카롭게 지적한다.
일정 주기마다 바꿔야 하는 패스워드는 갈수록 길어지고 복잡해진다. 이제 특수문자까지 넣어야 패스워드를 생성할 수 있다. 또 소프트웨어도 주기적으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고 제품을 구입하면 당연시 들어있던 사용설명서도 요즘엔 홈페이지에서 직접 다운받아야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림자 노동 때문에 할 일이 늘어났다는 사실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이것이 우리 삶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이해한다면 일상을 다른 방식으로 구출할 수 있다. 즉 그림자 노동을 선택의 문제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그럴 때 있으시죠?》 출간 후 8년 만의 공감 에세이
오늘 하루를 든든하게 채워줄, 김제동의 밥과 사람 이야기
30만 독자가 함께 읽고 공감한 전작 《그럴 때 있으시죠?》 출간 후, 8년 만에 선보인 김제동의 두 번째 공감 에세이! 《내 말이 그 말이에요》는 작가 김제동이 방송이나 공연하는 것보다 집에서 살림하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아이들과 만나 이야기하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새로이 발견한 일상의 작고 기쁜 순간들을 담은 일기장 같은 책이다.
또한 이 책은 김제동이 나를 먹이고 남을 먹이고 돌보는 살림 이야기, 아이들을 만나 함께 웃으며 치유받는 뭉클한 순간들, 그리고 ‘임시보호’하던 강아지 ‘탄이’와 5년째 함께 살면서 느낀 가슴 따듯한 순간들을 독자들과 나누고 싶어서 띄우는 편지와도 같다. 저자는 거창한 의미나 맥락보다는 친구들과 떡볶이집에서 수다를 떨 듯, 힘들 때나 기쁠 때 옆에 누군가 있는 것처럼, 아무 페이지나 펼쳐도 서로 이야기 나누는 듯, 읽고 나면 풋! 하고 미소 지을 수 있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고 한다.
이 책에서 김제동은 틈날 때마다 지인들에게 경복궁에 얽힌 이야기를 들려주는 강담사(講談師, 조선시대 직업으로, 이야기장으로 불리는 사람) 역할까지, 자신의 일상을 독자에게 소상하게 전하면서 “여러분은 어떻게 잘 지내시는지?” “요즘 어떤 작고 기쁜 순간들로 마음을 채우시는지?” 다정한 안부 인사를 건넨다. 8년 만에 출간된 이 책은 방송인, 사회자 김제동의 입담이 그리웠던 독자들에게도 기쁘고 유쾌한 선물이 될 것이다.
주요 내용
● 일본에서 '대중들의 의학, 과학 지식을 한 단계 상승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저자하기와라 기요후미가 분자생물학을 일반인의 눈높이에 맞춰 이해하기 쉽도록 풀어쓴 것으로 사전 지식이 없는 초보자도 술술 읽을 수 있는 분자생물학 입문서이다.
● 어렵고 복잡한 학문인 분자생물학의 세계를 드라마 보듯이 재미있는 일러스트를 활용해 쉽게 접근하도록 구성한 대중 과학서이다.
● 분자생물학의 가장 기본적인 세포의 구조에서 출발, 단백질의 활동과 효소의 역할, 세포들간의 정보 교환방법, DNA의 구조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복제 시스템, 유전자 해독과 유전자 치료 등을 충실한 다뤘다. 특히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이해하는 데도 튼튼한 기초를 제공하며, 면역력 이해를 위한 초석을 다지게 하고 있다.
● 분자생물학은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학문으로, 병에 걸렸을 때 먹는 각종 조제약과 신약, 인간의 유전자를 분석해 향후 발병할 수 있는 병을 알아내는 것이나 암을 정복하기 위해 암세포를 끊임없이 연구하는 것 역시 분자생물학의 영역임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