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숙한 수업의 일상을 새롭게 바라본다!이혁규의 교실수업 이야기『누구나 경험하지만 누구도 잘 모르는 수업』. 교사라면 누구나 해야 하는 일이지만, 누구도 자신있게 잘 안다고 말할 수 없는 수업. 왜 학교 수업을 바꾸려는 시도는 번번이 실패하며, 아직도 교사 중심의 주입식 수업이 지배하고 있을까?...
‘인간 안철수’의 남다른 인생 궤적과 생생한 비하인드 스토리!세상 누구도 듣지 못한 안철수 ‘리얼’ 스토리『안철수 HE, STORY』. 지난 10년간 가장 가까이에서 안철수와 동고동락해 왔으며, 안철수연구소에서 커뮤니케이션 팀장직을 수행해온 저자 박근우가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안철수의 꿈, 철학...
세상의 다양한 아픔과 고민, 그리고 위로와 조언의 이야기가 모두 얽히고설켜 있는 공간이 있다. 바로 300만 이용자가 모여 있는 'MOCI'라는 어플이다. 이 공간에서는 고민을 털어놓는 사람과 고민을 들어주는 사람의 역할이 정해져 있지 않다. 아무리 무거운 고민을 안고 있는 사람도 누군가에게는 따뜻한 위로와 냉철한 조언을 해주기도 한다. 이들은 모두 '익명의 모씨들'로 서로의 말에 귀 기울일 준비가 되어 있는 존재들이다.
<우리는 누구도 무사히 성장하지 않는다>는 300만 명의 모씨들이 던져놓은 고민을 주제별로 분류하고 각 고민에 대한 조언과 위로의 이야기를 사연으로 받아 만들어진 책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고민을 털어놓은 모씨와 그 고민을 들어준 모씨 모두가 저자가 되는 셈이다. 편집부에서는 가능한 한 모씨들의 고민을 다양하게 다루려고 노력했으며, 고민과 조언이 생생하게 느껴질 수 있도록 편집하였다. 때로는 정제되고 정돈된 고민보다는 조금은 거칠지만 날것 그대로의 느낌을 살리기도 했다. 그것이 지금을 사는 청춘들의 고민을 더 잘 담는 방법이라고 판단했고, 독자들도 더 깊이 공감하리라는 생각에서다.
그렇다고 이 책에 담긴 이야기가 정답은 아니다. 하지만 모씨들이 나름대로의 인생에서 여러 경험을 통해 얻은 살아 있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가장 가슴에 와 닿는 조언일 수 있다.
경직된 조직문화와 권위적인 분위기도 한몫한다. 이런 점에서는 독일도 우리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다. [우리는 누구도 완벽하지 않다]는 단순히 실수를 관대하게 용인하자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오히려 실수를 두 팔 벌려 환영하는, 실수 친화적인 태도의 좋은 결과에 대해 전방위로 독자를 설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