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사박물관에 해당 원서의 초판이 전시되어 있을 만큼 역사적 가치가 뛰어난데, 『조선, 그 마지막 10년의 기록(1888-1897)』은 바로 그 책을 정식으로 번역한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그간 우리가 역사책으로만 접해온 ‘아관파천’, ‘을미사변’, ‘명성왕후 시해’ 등 본인이 직접 겪은 역사의...
차례 조선을 방문했는데, 그때가 바로 동학혁명과 청일전쟁의 시기였다. 두 사건의 전략이나 전투... 그는 조선 관료의 부패에 대한 한탄을 금치 못하다가 시베리아 한인촌의 근면하고 성실한 삶의 모습을 보면서 조선의 빈곤과 나태는 관료의 부패로 말미암은 체념이라고 결론을 짓고 있다. 그의 명성황후...
마틴 드워킨이 엮은 책으로, 존 듀이가 쓴 교육에 관한 기록들을 담았다. 마틴 드워킨이 이 책을 엮은 1959년은 아마도 듀이와 진보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이 가장 극심한 시기였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상황에서 드워킨은 당시 미국인들이 듀이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면서 그를 무조건 비난하거나, 아니면 무조건...
『종이 위의 기적, 쓰면 이루어진다』는 실용적인 메모법부터 기적을 만들어내는 마법 같은 ‘쓰기’ 방법에 이르기까지 삶을 사랑하는 사람들은 꼭 알아야 할, 그리고 일상생활의 습관처럼 만들어야 할 방법들이 가득 들어있다. 진솔하고 감동적인 이야기들과 함께 이러한 방법을 본다면 당신은 ‘쓰기’의...
Christianity Today 선정 “2015 Book Awards” 수상 도서. 국제 신약신학계의 차세대 주자인 마이클 버드가 신약성서 복음서 문제를 다루는 중요한 저작을 펴냈다. 복음서 문제는 신약성서 신학 뿐 아니라 기독교 신학 전체를 통틀어 가장 어렵고 민감한 주제다. 신약성서 복음서를 둘러싼 주요 논점은 다음과 같다.
왜 복음서가 하나가 아니라 네 개인가? 왜 네 개의 복음서가 서로 차이가 나는가? 복음서의 기록은 신뢰할 만한 것인가? 복음서의 순서가 현재와 같은 형태로 정해진 이유가 무엇인가? 복음서의 기록 목적 및 장르는 정확히 무엇인가? 등등. 사실상 지난 100년간 세계 신약신학계에서 벌어진 가장 격렬한 논쟁의 상당수가 복음서 문제를 둘러싼 것들이었다.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비평, 곧 본문비평, 자료비평, 역사비평, 문학비평, 양식비평, 편집비평, 서사비평 등이 등장했다. 문제는 어떤 이들은 다양한 비평 방법을 적극 사용하여 결국 복음서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하는가 하면, 다른 이들은 그런 이유로 말미암아 복음서 문제를 덮어둔 채 무작정 믿는 것이 최선이라는 입장을 굽히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버드는 소위 “믿음에 기초한 비평”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