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그치지 않고 욕심 내지 않는 핀란드 육아법
핀란드 부모는 왜 서두르지 않을까? 수십만 독자들이 열광했던 육아툰 ‘그림에다’ 심재원 작가는 우연히 일본광고를 만들다가 깊은 고민에 빠졌다. 가까운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일본의 육아 환경 및 방식이 너무나도 달랐던 것이다. ‘하물며 일본도 이러한데, 육아 선진국인 핀란드는 어떨까?’ 이런 단순한 호기심에서 출발한 핀란드행. 그는 3개월여 준비기간을 거쳐, 핀란드 외교부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네우볼라’나 ‘데이케어 센터’ 등을 공식 방문하여 국가 차원의 육아 시스템을 경험했고, 일주일 간격으로 핀란드의 다양한 가족들을 만나 함께 생활해보면서 자녀를 키우는 핀란드 부모들의 태도를 엿볼 수 있었다.
어쩌면 핀란드 사람들이 너무도 당연하게 누리고 있는 좋은 복지와 육아 환경이 지구 반대편 대한민국이란 나라에 사는 아빠의 시선에는 어떻게 담겼을까? 핀란드 현지 외교부의 도움을 받아 네우볼라나 데이케어 센터 등 육아 시스템을 경험하고 다양한 핀란드 가족들을 만났던 이야기를 글, 그림, 사진으로 기록한 『똑똑똑! 핀란드 육아』. 나는 지금 어떤 부모인지, 어떤 부모가 되고 싶은지, 답을 찾는 분들에게 책 속 ‘핀란드 부모의 지혜’를 권한다. 잘하길 바라기보다 좋아하는 걸 지켜보는, 결과보다는 늘 과정을 함께 하는, 꿈꾸라고 말하기 전에 아이의 꿈을 경청하는, 핀란드 부모의 지혜를 모두 담았다. 가족이 더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을 핀란드 부모로부터 찾고자 한 여정의 기록이다.
그렇다면 삼성전자의 몰락도 한국 경제를 위기로 몰아넣기보다는 도움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지만 이러한 기대는 너무나 안이한 생각이다. 노키아의 몰락이 핀란드 경제에 미친 영향이 제한적이었던 것과 달리, 삼성전자의 몰락은 한국 경제를 위기로 몰고 갈 가능성이 아주 높다. 그 이유는...
핀란드 교육 경쟁력의 핵심은 바로 교사의 역량이다!일본 태생의 교육 저널리스트 마스다 유리야의 『핀란드 교사는 무엇이 다른가?』. 핀란드 교육이 주목받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2000년부터 3년마다 실시하는 '학업성취도 국제비교연구(PISA)'에서 세계 최고의 학력을 유지하고 있는 나...
세계 최고의 교육 경쟁력을 가진 핀란드의 교실 이야기를 통해 진정한 교육개혁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국제학업성취도평가에서 단골 1위를 차지하는 핀란드는 확고한 교육의 기준을 가지고 있는 나라이다. 가정, 성, 경제력, 모국어와 관계없이 교육 기회가 평등하게 주어지고, 모든 교육을 무상으로 실시되며, 시험과 서열을 없애고 발달의 관점으로 학생을 평가한다. 학생들끼리 서로를 경쟁자로 생각하지 않고 모든 교육 단계에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협동하면서 동료의식을 갖게 한다. 이것이 핀란드의 교육이다.
즐거운 학교를 만드는 힘, 핀란드 교육에서 찾는다!핀란드 초등학교 선생님이 직접 쓴 『핀란드 교육 현장보고서』. 개개인에 맞는 맞춤교육을 하기 위해 노력을 아끼지 않는 핀란드 교육의 힘이 과연 어디에서 나오는지 살펴보는 책이다. 국가의 교육 정책에서부터 교사 양성 정책과 학교 운영 방안, 교사의 자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