롭게 사는 것을 인정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수집단이 소수집단의 문화가 존속하도록 적극적인 조처를 하는 것을 의미한다.트로퍼(HaroldTroper,1999)는 다문화주의 ... 미국 사회의 주류 이론이었던 동화주의를 비판하는 다원주의가 나타난다. 다원주의는 미국화에 반대하는 중류층 이상주의자들에서 시작된 이론으로써, 이론화가 되기 전에 먼저 사실로써 존재
국가인 캐나다의 다문화주의는 해롤드 트로퍼(HaroldTroper)의 정의에 따르면 ①인종, 민족, 문화적으로 다원화된 인구학적 현상, ②사회문화적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인식 ... 한 정책적 과제로 떠오른 시기이다. 특히 한국은 지구화와 함께 본격적인 다문화 사회로 옮아가게 되었다. 이 변화를 올바로 이해하고 대응하는 것은 이론적으로나 실천적으로나 대단히 중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