政治를 실현하여 국정을 주도하는 군주가 되겠다는 구도를 제시하면서, 경연을 활성화하고 《대학(大學)》을 탐구하였을 뿐 아니라 당태종의 《정관정요(貞觀政要》 역시 섭렵하여 강력 ... 하는 형태를 띠게 되어 탕평이 무의미 해졌다. 英祖 代의 탕평은 초기에는 잘 유지 되었으나 세제 시절 정쟁과 노론과의 관계를 너무 의식하였다. 正祖 代의 탕평은 결정적으로 유능 ... 계열의 척신계 견제가 불가능한 상황에 이르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고자 정조 대에는 새로운 탕평책의 등장이 필요하게 되었다.3)正祖代 의 蕩平政局峻論蕩平論영조(1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