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다.이 諺文志는 훈민정음해례가 나온 뒤에 최석정의 經世訓民正音과 신경준의 訓民正音韻解와 더불어 큰 학적 체계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유희는 신경준과 함께 근세후기에 있어서 가장 ... 終聲”까지는 그의 중요한 “訓民正音”에 대한 학설이다.3) 신경준의 학설(1) 舊有文字設그는 훈민정음 창제 이전에 우리나라에 고유의 속용문자가 있었다는 것처럼 주장하고 있다. 그것 ... .최석정(崔錫鼎)의 「경세정운(經世正韻)」2.1.2.박성원(朴性源)의「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凡例」2.1.3.홍계희(洪啓禧)의 「삼운성휘(三韻聲彙)」2.1.4.이사질(李思質
에 통해 국어의 변천한 모습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문헌경세정운(經世正韻)저자최석정간행연도1678년(숙종 4)해제및특징2권. 필사본. 운학서(韻學書).『훈민정음도설(訓民 ... 正音圖說)』이라고도 한다. 책의 표지에는 ‘경세훈민정음도설’이라고 되어 있으나, 속표지에는 ‘경세정운서설’이라고 되어 있다. 내용은 경세정운서설?운섭도(韻攝圖)?경세정운오찬(經世正韻 ... 하여 한자의 중국음을 정확히 나타내기 위해 편찬한 책. 한자 밑에 한글로 정음(正音)과 속음(俗音)을 달았다. 세종의 명으로 신숙주?성삼문?김증?손수산 등이 번역사업에 착수하여 1455
을 거쳐 실용성과 과학성을 입증. 1446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는 이름을 반포하였다.2)한글의 보급과 교육훈민정음 반포 후에 세종은 동국정운.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을 비롯. 농잠 ... 은 국문 소설과 가사문학과 시조 등의 새로운 문학 장르의 탄생.3)한글 창제의 의의?훈민정음이 지식층에 널리 실용화되지 못한 이유1. 당대 지식인: 훈민정음->한자음을 올바로 표기하기 ... 위한 한자학습상의 보조 수단2. 훈민정음 없이도 문자생활에 불편을 느끼지 못함3. 훈민정음이 불경 국역에 많이 사용->유학자들의 반발4. 지식층의 사대적인 사고방식과 쉬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