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헤일메리독서감상문글쓴이 : 앤디 위어출판사 : 알에이치코리아감상평나는 우주 이야기를 사랑한다. 인터스텔라와 마션, 유로파 리포트 등의 우주영화가 내게는 그렇게 재밌 ... 가능한가? 과학 좀 했다는 사람이라면 모두 아는 공식 E=mc²을 이용해서 그렇게 한다. 즉, 아스트로파지는 에너지를 질량으로, 질량을 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생물이다.이런 생물
제목: E=mc²저자: 데이비드 보더니스동기이 책은 내가 물리를 배우지 않고 관심이 없었을 때에도 제목을 여러 번 들어보았을 정도로 유명한 책이다. 그러나 그동안은 읽어 볼 생각 ... 을 한 번도 하지 않았는데 물리를 배우다 보니 이 책을 꼭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책의 줄거리‘E=mc²’은 부제에 나오는 대로 물리학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도 한 번 쯤 ... 는 이 책을 “E=mc²”의 전기라고 말한다. 사람도 아닌 물리학 방정식의 전기를 썼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이 책은 처음부분에서는 우선 E(에너지), =(등호), m(질량), c(빛
독후감E=mc²을 읽고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과 E=mc²은 초등학교 때부터 많이 듣고 많이 사용하였는데 실제로 수업시간에 교수님이 상대성이론에 대해 물으셨을 때 어떤 것을 말 ... 해야 할지, 아니 그 이론에 대해 내가 정말 알고 있는 것이 있는지 생각하게 되어 데이비드 보더니스가 지은 E=mc²을 읽게 되었다. 실제로 책 서문에 작가가 소개한 카메론 디아즈 ... 의 일화가 나오는데 디아즈는 프리미어라는 잡지 인터뷰에서 기자가 궁금한 점을 물어보라고 하자 E=mc²이 어떤 것이냐는 조금은 엉뚱한 질문을 했다고 한다. 이 책의 이 일화를 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