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으로 다이어프램(Diaphragm)을 사용하는데, 이는 외부 다이어프램형식을 채택할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충진성이 비교적 문제가 되지 않지만, 내부 다이어프램 형식의 경우에는 충진성 ... 의 단면1 CFT구조 형식콘크리트 충진 부재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과 관련한 기술로서 미국, 유럽, 일본 등에서는 단순히 CFT(Concrete Filled Steel Tubular)구조 ... 를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 형태로서 적용하거나, 아치교의 축압축을 부담하는 요소로서 적용을 시도하였다.그림 3 CFT거더교량의 시공 사례(일본-Hokurikudo Bride)그림
으로 에 의한 타설이 충전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 시공성도 고려해서 설계시에 다이어프램형식을 결정하여야 한다. 기존의 CFT 기둥 구조형식의 발전에 가장 큰 장애요인 ... 로 H형강에 비해 단면성능이 우수한 강관구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꾸준히 연구되어 왔다. 강관부재는 타단면부재에 비해 방향성이 없는 폐단면 부재이므로 비틀림 강 ... 다 .콘크리트 코어에 횡구속압을 가하는 데는 원형단면이 정방형(square)이나 장방형(rectangular)의 단면보다 더 효과적이어서 더욱 큰 강도와 연성을 갖는다. 강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