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그중 산수배격론을 담고있는 8조 는 위작설논란이 가장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2. 조작 가능성왕조 초기 나라의 통일과 안정에 혼신의 힘을 기울였을 왕건이 유독 전라도 사람 ... 의 사람을 등용하지 말 라’는 항목은 지역감정의 원인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본인 학자들을 비롯한 일부 학자들에 의해 위작설(僞作設)이 제기되고 있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훈요십조의 내용 ... 론 에 해당되니 인재를 등용치 말라는 내용을 담고 있는 훈요십조를 왕건은 과연 후세에 남겼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으며 훈요십조의 위작설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
내용이 사서에 실린 뒤로는 식자 간에 널리 알려져 후일 흔히 군왕을 간하는 신하들의 전거가 되었다.왕건의 훈요십조는 조작되었는가? 에서 핵심은 훈요십조에 8조항이다. 는 내용이 ... 는 "'외'는 『한화사전』 등에서 「바깥」이라는 의미와 「위」라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는 점을 거론하며, "'공주강 외'는 '공주강 위'라는 뜻이며, 지리적으로 공주강 북쪽 ... 를 온전히 포함하게 된다. 다른 하나는 차유령 고개라고도 불리는 차령 지역이다. 공주에 가까워서 이곳에서 금강까지 범위를 표시해 보면 공주 근처의 유역이 설정된다.다른 조항의 조작
위작설」을 강변하면서 동시에 영호남 지역갈등까지 교묘하게 부추기는 해석을 내렸다.이마니시 박사의 제8조 해석을 비판하면서 훈요십조의 위작설을 제일 먼저 부정하고 나선 사람 ... 에게 전수했다 한다.하지만 그 중 민족 화합과 통일의 정치 이념을 펴려고 했던 태조 왕건의 통치 이념과 상반되는 8조항은 이해할 수 없는 의문점이 발견된다. 여러 문헌으로 미루어 볼 때 ... 반거란 주의가 주 내용을 이루고 있다. 유독 이 8조항에만 문제가 되는 지역 차별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다.지금까지의 통설대로 호남, 즉 후백제 지역이 배역의 땅이라고 한다면
하고 정치를 펴 나가라는 해석은 훈요십조의 다른 조항의 내용과 견주어 보아도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 바로 이런 점을 꼬집어 일본인 이마니시는 후백제인을 관직에 임명하지 말라고 하는 제8 ... 적으로 일제강압기에 조선총독부 산하 조선사편수회 편수관 이마니시(今西龍)에 의해 그 해석이 근본적으로 잘못되기 시작하면서 훈요십조 위작설의 단서로, 혹은 지역갈등 조장의 수단으로 악용 ... 였다.Ⅱ. 본론1. 왕건의 생애본관 개성(開城), 자 약천(若天), 성 왕(王), 휘 건(建), 시호 신성(神聖)이다. 금성태수(金城太守) 융(隆)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위숙왕후(威肅
째 조항을 흔히들 이야기한다. 과연 훈요십조는 태조 왕건의 의도였을까. 최근 훈요십조에 대해 일본인 학자들을 비롯한 일부 학자들은 위작설을 제기하고 있다.훈요십조는 태조 26년 ... 훈요십조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과목명 : 문화로 본 한국사담당교수 : 천화숙 교수님작성자 : B조제출일 : 2000년 5월 8일목차머리말Ⅰ. 당시 정황Ⅱ. 훈요십조 조작설1 ... 의 로 등용된 사람을 도별로 낸 통계를 보면 1위는 경기도, 2위는 경상도, 3위는 황해도, 4위는 충청도, 5위는 전라도, 6위는 강원도 순으로나타난다.단위 : 명이 통계에 따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