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는 존재로 변질되었고, 성리학의 현실적?정치적 기능이 약화되었고 반대로 이기(理氣)철학(哲學)과 번쇄한 예학(禮學)을 중심으로 흘러가게 되며 중소지주가 대지주 또는 지방 토호 ... )의 선후 문제나 혼합성·분리성 등과 같은 문제는 항상 이율배반적인 쟁점을 가진 것이었으나, 그는 이러한 문제들을 관점에 따라 범주화(範疇化)하여 각기 타당성을 논증하고, 형식 논리의하였다.
論)과 인식론(認識論) 그리고 동양사상의 음양론(陰陽論)과 이기론(理氣論) 및 유식학(唯識學)의 관점에서 인성이 지닌 특성과 범주의 규명이 필요하다. 인성이 위치한 범주의 규명은 곧 인성 ... 의 정의를 규정하는 기준이 되고, 이러한 기준은 인성의 구성요인을 밝히는 근거가 될 것이다.2. 인성의 범주‘범주(範疇)’ 또는 카테고리(category)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 ... 사상적 근거: 음양론과 이기론(理氣論)동양사상의 음양론 동양철학의 핵심인 음양론은 역경(易經)에 집대성되어 있다. 음양의 원리에 따르면, 음양론에서는 음과 양이 서로 조화
여 선천적 良知를 지극히 하는 것이 格物致知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름다운 빛깔을 좋아하는 것을 行의 範疇에 속한다고 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색깔을 볼 때 이미 좋아하는 마음 ... 다.朝鮮 性理學의 이론이 결국 主理와 主氣의 理氣문제로 집중되었음은 다 알고 있다.그런데 氣는 감각적인 변화의 세계를 나타내는데 비해 理는 초 감각적 불변의 원리를 나타낸다.이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