劉仁願紀功碑나 黑齒常之父子의 墓誌石, 夫餘隆 墓誌石의 경우 시기와 제작지와 제작 주체에 있어서 백제 영역을 벗어난 것이면서도 백제사와 관련되는 내용을 담은 금석문의 대표적인 예 ... 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금석문을 통해서 고대사회(고구려, 백제, 신라, 남북국시대)의 모습을 서술해 보겠다.Ⅱ. 본론1. 고구려시대의 모습광개토대왕비(廣開土大王碑)가 집안 지역
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주고 있다.陵碑와 巡狩碑 이외에 흔히 紀功碑가 여럿 전한다. 위관구검기공비, 唐劉仁願紀功碑, 蘇定方紀功碑의 성격에 가까운 唐平百濟碑가 바로 ... 로 金仁問비의 조각이 남아 전한다. 碑의 내용은 金仁問의 始祖와 先祖들의 行蹟, 金仁問의 行狀 등으로 구성되었다. 碑의 後半部가 남아 있지 않아서 전체 내용은 알 수 없 ... 지만, 대체로 뒷부분에 金仁問의 죽음과 葬禮, 碑의 건립에 관한 사실, 碑銘을 기술하였을 것이다. 다른 臣僚들의 碑文 역시 金仁問碑의 내용 구성과 大同小異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國王이 영역
시 보령시21호 당유인원기공비(唐劉仁願紀功碑) 충남 부여군 국립부여박물관22호 금산사노주(金山寺露柱) 전북 김제시 금산사23호 금산사석련대(金山寺石蓮臺) 전북 김제시 금산사24호 ... (서울普信閣鍾)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3호 대원각사비(大圓覺寺碑) 서울 종로구 종로구4호 중초사지당간지주(中初寺址幢竿支柱) 경기 안양시 안양시5호 중초사지 삼층석탑(지방문화재 ... 법주사사천왕석등(法住寺四天王石燈) 충북 보은군 법주사16호 억정사대지국사비(億政寺大智國師碑) 충북 충주시 충주시17호 정토사법경대사자등탑비(淨土寺法鏡大師慈燈塔碑) 충북 충주시 충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