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는 영화를 보았다. 이야기는 ‘첫 번째 정거장’과 ‘두 번째 정거장’으로 나뉘어있다.우선 ‘첫 번째 정거장’ 내용은 다음과 같다. 호모파버는 저개발국을 위해서 유네스코에 소속된 기술 ... 자로서 비행기와 자동차로 세계를 누비고 다니는 바쁜 직업을 갖고 있다. 발터 파버가 멕시코로 향하는 비행기 속에서 자기 옆 좌석에 앉은 독일인 헤르베르트를 만나지만 헤르베르트 ... 이 결혼 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파버와 한나는 20년 전,연인 사이였다. 그는 한나와의 사이에 아이가 생기자 아버지가 되기를 기뻐하기 보다는 당혹해 한다. 한나는 아이를 낙태 수술
기 때문에 B일 확률이 몇%다.’ 로 바뀌었다. 호머파버의 한 예로 제시된 발터는 실로 안타깝게도 뉴튼의 시대에서 살던 사람이다.현대의 발터는 지금 그의 앞에 있는 ‘여인’이 ... 독일명작 감상【호모 파버】를 읽고작품 개요“기계에는 체험의 기능이 없으며, 공포나 희망의 감정이 없다는 사실이다. 오히려 그런 것은 방해가 될 뿐이다. 결과에 대한 소망도 없 ... 으니까.”발터 파버는 확률과 개연성을 종교의 신성한 교리처럼 믿는다. 그러나 이 소설에서 나오듯 세상일은 우연의 연속이다. 확률 상 희박한 비행기 불시착을 경험하게 되고, 이웃 승객이 바로
영화 를 보고...20111367 김종국『호머파버』란 문학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폴커 슐렌도르프 감독의 사랑과 슬픔의 여로를 봤다.줄거리는 주인공 월터가 공항에서 선그라스를 끼 ... 의 제목인 호머파버의 뜻이 기계인간임을 뜻하고 있어 월터를 가르키는 말을 암시하는 것 같다. 또 영화 원제가 ‘항해자’라는 점에서도 함축적으로 의미를 담고있다는 생각이 든다.
독일은 다시 병폐하여간다.호모파버의 인간성 회복으로 볼 것인가 아님 상실로 볼 것인가.호모 파버 막스 프리쉬는 호머파버를 통해 20세기의 기계문명에 의해 탄생된 자기를 상실한 현대인 ... 의 초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 호머파버는 20세기의 기계문명 때문에 인간의 감정과 정서, 정신생활을 모르는 체 살아가는 기계적인 인간이다. 그는 오로지 기술자이기만 한다 ... 의 삶에 대한 치명적인 소외상태에 빠지게 마련인 것이다. 이것은 작가 막스 프리쉬가 지적하듯이 기계문명의 혜택을 받은 오늘날 우리 인간의 가장 큰 결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호모 파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