師說사설 - 韓愈한유古之學者, 必有師. 師者, 所以傳道 ? 授業 ? 解惑也.고지학자 필유사 사자 소이전도 수업 해혹야옛날의 학자들에게는, 반드시 스승이 있었다. 스승이란, 도 ... 에 구애받지 않고,請學於余. 余嘉其能行古道, 作師說, 以貽之.청학어여 서가기능행고도 작사설 이이지나한테 배움을 청해왔다. 나는 그 사람이 옛날 도를 범할 수 있음을 훌륭하여(가상히 ... 여겨), 이 사설을 지어, 그에게 전해주노라.의역→ 옛날의 배우는 자는 반드시 스승이 있으니, 스승이란 것은 도를 전하고 업을 주고 의혹을 푸는 때문이다. 사람은 나면서 이(도
를 빌려 재능 있는 사람이 대우받지 못하고 초야에 묻혀 뜻을 펴지 못함을 탄식하는 자기의 본뜻을 내비추고 있다.4) 한유의 〈進學解〉한유는 어사가 된 뒤에 세 번이나 국자감과 사문학 ... 한 부분을 차지한다.권학문이란 배움을 권하는 글이란 뜻인데, 오언?칠언?잡언(雜言:글자 수가 일정하지 않음) 시(詩)나 각운자를 맞추어 지은 산문(散文) 등 여러 가지 형식이 있 ... 려는데 좋은 매파 없다 한하지 말라, 책 속에는 얼굴이 옥같이 예쁜 여인 있다네.취 처 막 한 무 양 매 서 중 유 녀 안 여 옥男兒欲遂平生志)면, 六經勤向窓前讀하라.남아가 평소의 뜻
- 국가에서 보호, 육성하였으나 관학이 아닌 사설조직단체로 미혼자제들이 민간에서 조직- 왕족 또는 귀족의 자제(14-16세) 대상- 평화시 사회적 지도자를 기르는 수양단, 유사시에는 전 ... 행위 → 행동적 실천 → 행 → 거경 → 실천론? 교육방법론- 입지 : 학문을 하는데 근본이 됨. 먼저 뜻을 세우는 정신적 준비태세- 궁리 : 학문에는 명백한 이치에 달하는 것 ... 이 중요하다- 경 : 공경, 외경의 자세가 학문의 출발이니 정성을 다하는 것- 숙독 : 단지 문장의 뜻을 이해하는게 아니라 완전히 익히는 것- 심득, 궁행 : 위기지학 강조, 위인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