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웨슬리로부터 출발하여 영국을 복음화 시켰던 성결운동이 미국의 1차 대각성운동의 조나단 에드워즈, 조지 휫필드, 찰스피니의 부흥운동을 거쳐서 팔머 부인에게로 또 무디에게로 그 흐름 ... 았다. 이것을 최초로 강조한 사람이 휫필드 이었다.찰스피니찰스피니는19세기의 새로운 상황에서 전통적인 메시지를 새롭게 해석한 위대한 부흥사였다. 에드워즈의 강조점은 청교도의 후예 ... 들과 직접 호흡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고, 도한 시간과 장소에 따라 설교의 내용을 자연스럽게 변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휫필드 설교의 또 다른 특징은 연극 같은 설교이다.휫필드
운동의 한 부분이었을 뿐이다. 휘튼 대학은 근대 부흥운동의 아버지인 찰스피니가 전개했던, 남북전쟁의 이전의 전도활동으로까지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는 부흥운동의 한 현상이 ... 다. 블랜차드 부자는 피니의 제자들이었으며, 휘튼 대학도 그 자신이 피니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2장에서는 복음전도사 찰스피니가 “영혼의 구원”에만 관심을 가졌 ... 운동의 원천들에 대한 초기 복음주의의 헌신마저 그 흔적을 지우고 말았다. 미국 여성인권운동의 뿌리는 바로 찰스피니의 부흥운동과 그것이 탄생 시킨 개혁운동에서부터 추적하는 것으로 보
다. 하지만 저자가 말했듯이 기독교에 미친 영향은 악영향이다. 하나님 중심이냐 인간중심이냐 라는 문제인 것이다. 찰스피니가 주장한 것들은 정말 하나님 말씀과 너무 거리가 먼 것이 ... 다. 그리고 찰스피니의 인물을 소개할 때 나도 동감한 부분이 많다. 결과주의적인 예수그리스도의 신성과 하나님의 말씀 자체를 성경에서 제외하고 하나님 없는 기독교를 만들었다는 데 ... 에서 찰스피니는 절대적으로 이 시대의 기독교에 악영향을 주었다. 구원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총으로 된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전혀 배제하는 것과 인간의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