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너 자신을 알라.”라는 격언으로 요약되는 무지의 자각과 “덕(德)은 곧 지식(智識)이다.”라는 지덕일치론으로 대표된다.특히 소크라테스의 지덕일치론에 있어서 “덕은 곧 지식이 ... )를 어떻게 이해했는지. 소크라테스의 지덕일치론의 “덕은 곧 지식이다.”라는 명제의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그 역의 성립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II. 본론소크라테스 ... 가 주장하는 지덕일치론의 가장 핵심적인 명제는 바로 “덕은 곧 지식이다.”라고 할 수 있다. 앞의 명제에서 덕(德)으로 번역된 그리스 단어는 Ar?te로서 고대 그리스에 있어 일반
[소크라테스]1. 지덕일치설: 모든 개별적인 덕은 지식에 의해 인도되어 덕으로서의 지위를 가질 수 있으므로, 덕과 지식은본성상 동일한 것. 지식의 동반여부에 따라 덕이 유익 ... 성)2. 지덕복합일설: 인간의 최선의 삶에 대한 참된 이성적 지식을 소유하고, 그에 따라 행위하여 행복할 수 있음1) 덕 있는 삶은 그 자체로 최선의 삶이기에 인간에게 가장 유익 ... 는 인간에게 있어 가장 좋은 상태이므로 그 자체로 좋은 것이며, 정의를 실현함으로써 가장 훌륭하고 좋은 상태에 있게 되므로 그것에서 생기는 결과 때문에도 좋은 것이 됨2) 덕복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