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土葬墓), 지석묘(支石墓), 적석총(赤石 ), 석총(石塚), 토총(土塚), 전축분(塼築墳) 3. 유구의 재료에 따른 분류 : 석관묘(石棺墓), 석곽묘(石槨墓), 목관묘(木棺墓 ... 로만 본다면 일반 석곽묘와 같으나 분구(墳丘) 내에서의 위치에 차이가 있다. 일반 석곽묘는 지면 아래에 장방형 토광을 파고 그 사면벽에 기대어 돌을 쌓아 곽을 만드는데 비하여, 돌무지 ... 별로 분류하면 대체로 다음과 같다. 1. 봉분의 형태에 따른 분류 : 방형분(方形墳), 원형분(圓形墳), 쌍분(雙墳), 전방후원분(前方後圓墳) 2. 봉분의 재료에 따른 분류 : 토장묘
는데 이러한 예는 고성 솔섬 유적과 김해 예안리, 창원 산동동 고분에서 찾아볼 수 있다.석곽묘는 깬 돌이나 냇돌로 시신을 매장하는 주체부를 만든 형태로 매장 주체부는 돌로서 네 벽 ... 은 석곽묘 형태이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동래 복천동, 고령 지산도으 함안 도항리 고분군 등이 있다. 이 묘제는 경주를 제외한 경상도 전역과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도 발견되고 있 ... 용으로 이용되는데 청동기시대의 옹관묘와 연결되며 합구식과 단옹식이 있다. 이들 옹관중에 석곽 안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는데 김해 예안리와 부산 괴정동유적 등에서 보인다.2. 가야의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