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부사로서 인조반정공신인 김류(金?)의 막하에서 있다가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 때에는 출정을 자원하여 정충신(鄭忠信)의 휘하로 들어가 공을 세워 진무원종공신(振武 ... 여도 그 재략(才略)을 아껴 과거의 일을 불문에 붙이려 하였다.그러나 역관 정명수(鄭命壽)?이형장(李馨長), 그리고 조신 김자점 등 반역 부청배(附淸輩)가 결탁하여 본국으로 송환
(前部大將) 정충신(鄭忠信)의 추격을 받았다. 이에 이괄의 부하 기익헌·이수백 등은 자기들의 목숨을 보전하기 위해 이괄·한명련등 9명의 목을 베어 관군에 투항하여 반란은 평정 ... 왕(平南王) 상가희(尙可喜), 정남왕(靖南王) 경중명(耿仲明)의 삼번(三藩)이었으며, 수 년에 걸친 삼번의 난의 진압과, 거의 때를 같이하여 명나라 최후의 유신(遺臣) 정성공(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