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 대하. 『희망의 신학』이 부활에,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이 십자가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두 책의 논증 모두 십자가와 부활에 관한 변증법적 해석을 전제 ... 방향으로 전개된다. 『희망의 신학』에서 십자가에 달린 그리스도의 “부활”은 종말론적 관점에서 이해되고, 변증법적인 약속과 희망과 사명들의 주제에 의해 해석된다. 반면 『십자가 ... 을 정치로 환원시키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끊임없이 복음의 정치적 차원을 강조하였다. 『희망의 신학』이 출간된 직후 몰트만은 자신의 사상을 정치적인 성격을 분명히 하는 신학으로 발전
다. 유목민의 종교는 약속의 종교이다. 유목민은 파종과 수확이 순환 속에서 살지 않고 이주의 세상에서 산다. 위르겐 몰트만, 희망의 신학, 이신건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112쪽 ... 의 신앙은 바로 여기서부터 시작이다. 즉 자신의 희망과 기대가 걸려 있는 바로 그 미래에 대해 질문하는 신앙이 필요하다. 위르겐 몰트만, 희망의 신학, 이신건 옮김, 대한기독교서회, 349쪽. ... 에게는 이 땅 위에 영원한 도시가 없고, 우리는 장차 올 도시를 찾고 있습니다.(히 13:13~14)희망의 신학에서 나타나는 몰트만의 신학은 히브리인들의 유목민 신앙에 기초를 두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