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원래 뜻과 관련 없음 ▶ 한자 문화권에 속했던 다른 나라 에서도 관찰한글 창제 이전 구결 한문의 구절마다 한자를 이용한 조사나 어미 등을 끼워 넣은 것 ▶ 음독구결 ▶ 석독구결 ... ( 훈독구결 )한글 창제 이전 ▶ 음독구결 한자를 음으로 읽으면서 중간에 우리말 조사나 어미만 넣어서 읽는 방식 朋友붕우 隱은 벗은 同類之人동무지인 是羅이라 같은 무리 사람이 ... ▶ 고유 명사 표기 ▶ 구결 ▶ 향찰 ▶ 이두한글 창제 이전 고유 명사 표기 ▲ 광개토대왕비 비문 ▶ 당시 고유어 발음과 가장 비슷한 음 을 가진 한자를 빌려서 적은 것 ▶ 한자
에는 '이두, 구결, 향찰'등이 있고 이들은 모두 문장 단위를 표기할 수 있다.① 이두이두: 이토, 이도, 이서 등의 명칭으로 나타난다. 우리말 어순에 따라 한자를 배열하고, 문맥 ... 사용되었다.② 구결구결은 '입겾' 혹은 '입겿'이라 하며 '토'라고도 하며, 한문을 읽을 때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서 삽입하는 요소를 말한다. 이두와 달리 한자의 약체를 사용 ... 하기도 하였으며, 신라시대에 시작된 것으로 생각되나 오늘날 신라시대의 자료는 남아 있지 않다. 이두와 구결의 차이는 구결은 구결의 요소들을 전부 제거하고 나면 한문의 원문이 그대로
의 원문을 그대로 살린 상태로 문장의 각 말미에 우리말로 읽혀지는(음독/훈독) 한자형태의 토(吐)를 달음으로써 표현된다.구결의 이러한 표기법은, 다음의 예문을 통해 살펴볼 수 있 ... ’에 나아가지 못한 것에 아쉬움이 남는다.또한, 구결은 향찰처럼 음독과 훈독에 있어 ‘일정한 체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음독, 훈독이 병행되었으므로 어떤 것으로 읽어야하 ... 에만 훈독, 허사에는 음독하는 것과는 달리, 이두는 실사와 허사를 다 우리말로 바꾸어서 ‘우리말의 음’과 같은 한자어를 대체시켰다.예: 爲 → ‘하다’ → 河多 식으로!둘째로, 구결
주었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아직도 낯설었으며 문자생활에 불편함을 느끼게 하였다 . 따라서 구결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구결은 어순은 한문어순에 그 한문에 우리말의 문법적 요소를 토 ... 를 달아 읽는 것으로 석독구결과 순독구결이 있다. 구결의 자료는 구역인왕경에서 볼 수 있는데,구결의 등장은 인구의 증가의 한 이유로 볼 수 있다.인구가 증가하면 그 사회의 조직을 바꾸 ... 게 하고, 공동체란 의식과 사회적 여러 기준의 변화를 유발한다. 그것은 생활과 사고의 변화를 유발하고 언어의 변화까지 이르게 된다. 구결이 석독구결과 순독구결로 나뉘어 나타나
을 것이다. 그러한 모습이 비단 일본 문자에만 나타난 것이 아니라, 한국의 구결 등에서도 발견된다는 점으로 미루어 보면, 상당한 관련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일본의 국수주의자나 극 ... 부분을 생략하고 간략화해서 쓰는 방법이 나타나게 되었다.2.2. 읽는 방법일본 문자를 읽는 방법에는 훈독(訓讀) 과 음독(音讀) 이 있다고 앞에서 언급했다. 한자의 뜻을 일본 고유어 ... 로 읽는 방법이 훈독이고, 한자음을 빌어와서 읽는 방법이 음독이다. 많은 사람들이 일본어를 배우다가 매우 곤란해하는 것이 바로, 방법에 있어서 다양하게 읽히는 한자 때문일 것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