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희곡「소」의 변천과정 4. 희곡「소」작품분석(대립적 요소를 중심으로) 5. 유치진의 다른 작품 Ⅲ. 결론 - 희곡「소」의 한계와 의의Ⅰ. 들어가며1930년대 시대상황 : 일제 ... 문사) : 전반부는 3)과 동일하나, 사음과 소장수가 소를 끌고 가자 말똥이가 지주의 곳간에 불을 지른다. 유자나무집 딸은 실성하고 개똥이는 절망한다.4. 희곡 「소」 작품분석1 ... 유치진 「소」희곡의 이론과 분석목 차Ⅰ. 서론 - 1930년대 시대 상황과 연극계의 동향 Ⅱ. 본론 1. 작가소개 – 유치진 2. 희곡「소」의 인물 및 관계 / '소'의 의미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