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구해내고 그 대가로 선물을 받아 육지로 돌아온다’는 내용의 설화들이 있다. 이러한 일련의 설화들을 ‘용왕구병형 설화’)라 하고 이를 분석하여 토끼전과 비교, 고찰하고자 한다. 앞 ... 하고 과 비교해 보려 한다.1)‘용왕구병형’설화의 내용 분석설화의 전승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화 5편을 순차적인 진행에 따라 단락별로 내용을 살펴보겠다.A. 용왕의 병을 고치고 침 ... 과 변용을 거치면서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3)‘용왕구병형’설화와 의 비교(1) 위기의 경중과 풍자의 양상전체적인 골격에 있어서‘용왕의 병을 고치기 위해서 용궁에 간다’와‘육지
(雨師)·운사(雲師)가 나오고, 동명 신화에서는 하느님의 아들이라는 해모수(海慕漱)가 나온다. 석탈해 신하에서 신에 준하는 용왕(龍王) 및 붉은 용(赤龍)이 나오는 정도이 ... 다. 박혁거세 신화와 김알지 신화는 괴기 설화에 불과하다고 할 정도로 신의 존재가 잘 드러나지 않는다. 거기에서는 다만 ‘밝은 빛’으로 신의 존재가 암시되고 있을 뿐이다. 한국 신화에서는 신 ... 가 알(卵)로 태어났다는 이른바 난생설화(卵生說話)등도 되뇌어 볼 만하다. 웅녀(熊女)와 알은 물론 인간의 산물이 아니다. 그러므로 이것들에서 태어났다는 어떤 인간은 실상 인간의 소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