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2) 중국의 진과 처음으로 대중관계(마한의 잔여세력을 백제가 극복)cf) 마한도 진과 교류③ 개로왕 이전의 봉책관계는 백제의 왕에게 국한개로왕대에는 송에 사신을 보내어 신하 ... , 한강유역의 적석총이나 계단식 적석총은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 무덤 양식을 이은 것③ 처음엔 힘이 약해 북으로 낙랑과 말갈의 침략, 남으로는 마한에 조공④ 중부지방 장악(예성강 ... 에서 배출(비류계)② 고이왕 때 부체제 형성 ∴ 이 시기를 소국연맹과 중앙집권국가의 과도기③ 관제정비(6좌평,16관품), 관리복색제정, 법령반포(262)④ 좌평,좌장(군사업무) 설치
문화를 소유하여 우수한 무기, 농공구를 만들었으며 중국-낙랑?대방-가야-왜를 잇는 활발한 교역망을 형성했기 때문- 근초고왕대에 와 백제는 소국 수장을 중앙귀족으로 전화, 일원 ... 적 관등체제 편제. 영역을 분정하여 지방통치조직을 만들고 지방관 파견, 중앙에서 직접 통치. 유교이념을 강조하고 국사편찬. 이를 토대로 활발한 정복활동→남으로 영산강 유역의 마한잔여 ... 한국사 백제 개요1 - 시조 온조왕에서 사반왕까지는 소국적 질서가 남아있는 소국-소국연맹시기/ 고이왕에서 계왕까지는 소국연맹에서 중앙집권체제에 이르는 과도기인 五部체제시기
에서 무언가 특별한 역사 전개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백제의 영역으로 본 기왕의 통설적 견해에서부터 마한잔여세력으로 보는 견해, 왜와 관계를 가진 세력으로 보는 견해를 통하여 그 ... 로 비정하면서, 다음과 같은 요지의 견해를 밝혔다. ① 369년의 근초고왕의 경략 이전에는 백제의 南界는 노령산맥이었고, 노령산맥 이남에는 마한의 잔여소국들이 있었다. ② 369년의 근 ... 마한잔여세력의 실체를 '옹관고분'의 조영집단으로 파악한 것은, 통설을 보강한 것 같지만 오히려 통설을 부정하는 전거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왜냐하면 영산강유역의 '옹관고분
었다. 마한의 잔여세력을 평정하여 영역을 크게 확대한 근초고왕은 남진해 온는 고구려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하였다. 이를 위해 백제는 먼저 신라와의 우화관계를 도모하여 공동전선 ... 을직계인 초고계의 왕위계승권을 확립하였고, 또 진씨를 왕비족으로 삼아 왕권의 지지기반을 확대하였다. 나아가 서남으로는 가야세력을 평정하고, 남으로는 마한의 잔여세력을 병합하여 영역 ... 에는 침미다례(해남)를 중심으로 한 마한의 잔여세력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은 백제가 직산(稷山), 천안(天眼) 지역에 기반을 둔 목지국을 병합하였을 때 백제국으로부터 이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