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0일에 예드바브네의 폴란드 주민들이 이웃에 살던 유대인 1천 6백 명을 거의 몰살시킨 사건이었다. 독일인들은 이 광경을 선전용 카메라에 담으면서 그저 지켜보기만 했 ... 가스실에 가두어 죽여도 상관없다.문득 폴란드에서의 그 잔인했던 유대인학살의 한 장면이 떠오른다. 가장 극악무도했던 것은 독일이 소련을 침략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인 1941년 ... 에 내동댕이쳐져 짓밟혀 죽었다. 폴란드인은 잔인한 구타 속에서 살아남은 유대인들을 모두 근처 헛간으로 몰아넣고는 기름을 끼얹어 산 채로 불태워 죽였다. 아우슈비츠에서의 학살은 이보다 덜
면서 도주하는 유태인들을 총살하였다. 예드바브네교구에 있던 1,600여 카톨릭 가정에 속한 절반 이상의 남자들이 그 학살과 고문을 도왔으며 근처에 살던 폴란드인들은 현장을 직접 방문 ... 가 존재하고 있었으나 2차 대전 중 나치의 유대인 말살 정책으로 폴란드 내 유대인 공동체는 괴멸됐다. 그나마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유대인들마저 68 학생운동 ... 만이 아니라 전쟁 전, 오랜 역사의 과정 속에서 나타난다. 다만 2차 대전 과정에서 겪은 폴란드인들의 고통은 전후에도 계속되는 유대인 배척과 학살에 대한 면죄부로써의 ‘희생자 의식
7월 10일에 예드바브네의 폴란드 주민들이 이웃에 살던 유대인 1천 6백 명을 거의 몰살시킨 사건이었다. 독일인들은 이 광경을 선전용 카메라에 담으면서 그저 지켜보기만 했을 뿐이 ... 하는 경향이 있는데, 반유대주의는 엄밀히 따지면 나치즘보다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 나치즘의 지적 토대 중 일부를 구성하나 나치즘을 대체하는 개념이 될 수는 없다. 중세 유럽 ... 어린이들의 신선한 피가 필요하다.”는 소문이 발생했다. 이 소문이 전 유럽으로 퍼지면서, 유대인에 대한 사형재판, 학살 및 폭력이 자행되었다.2. 15세기 스페인에서는 ‘구기독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