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아에 대한 오만한 마음, 자아에 대한 애착이라고 하는 4가지 염오의(染汚意)를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말나식은 아뢰야식에 근거하여 과거로부터 되풀이되어온 자아를 본래 실재하지 ... ’에 ‘염오’, ‘잡염’의 색체를 덧붙여서 부파불교까지 동의어로 사용되어온 심, 의, 식을 심은 아뢰야식, 의는 염오의 말나식, 그리고 식은 육식으로 모두 8가지의 식이 존재한다는 8
라고 하는 것은, 예를 들면, 의복은 본디는 향기가 없는 것인데, 만일 이것에 향내를 배게 하면 본디는 향내가 없었던 의복에도, 향내가 배게 마련이다에 의하여 청정하게도 되며, 염오 ... (染汚)로도 되는 것을 말한다.'이 두가지 문이 모두 각각 일체(一體)의 법을 총괄하고 있다. 이 뜻이 무엇인가? 이 두문이 서로 여의지 않기 때문이다.'라는 구문은 진여문은 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