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명의 양역실총(良役實摠)에 관한 고찰1. 지은이 : 조현명(趙顯命, 1690-1752년)조현명의 양역실총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조현명 그는 문란한 양역행정을 체계화하기 ... 위한 기초작업으로써 군액(軍額) 및 군역 부담자 실제수의 파악에 착수하여 이를 바탕으로 1748년에 양역실총(良役實總) 을 간행하였다. 그 이듬해 영의정에 올라 균역법 제정을 총괄 ... 째로 발탁되었다가 1749년 진하 겸 사은사(進賀 兼 謝恩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이듬해 영의정에 올랐다.2. 양역실총 해제2-1.양역(良役)이란 조선시대에 있어 16세부터 60세
은 '여사서'를 언역하고 1742년에는 '천문도', '오층륜도'를 이듬해에는 균역의 전형인 '양역실총'을 인쇄하여 각 도에 배포했다. 한편 이 시기에 재야에서는 실학이 확대되면서 신 ... 로 하는 균역법의 시행으로 일반 양민들의 의무인 양역의 불균형에 따른 백성들의 군역 부담이 크게 감소되었다.1725년부터 각 도의 방죽을 수축하여 가뭄 피해에 대비했다.1729년 ... 의 균역법을 실시하는 한편 천민들에게도 공사천법을 마련해 신분에 맞는 국가에 대한 의무를 부담시켰다. 또한 양인의 숫자를 늘려 양역의 증가를 꾀하였다.1730년에는 양인 어머니
하던 중 1748년 전국의 양정수에 대한 기초조사가 완료되어 《양역실총良役實總이 간행됨에 따라 양역재정 전반에 걸친정확한 수치파악이 가능해지고 특히 호조판서 박문수의 주장으로 어염선세 ... 균역법균역법균역법이란 균등하게 역을 나누는 법이란 뜻으로 조선 후기 영조때 실시된 양역제도의 개선책으로 종래의 양역은 서민에게 많은 부담이 되었으므로 1751년 영조는 이에 대한 ... 대책으로 균역청을 설치하여 양역부담을 2필에서 1필로 줄이고, 그로써 부족한 재정을 이획, 어염선세(魚鹽船稅)?결전(結錢)?군관포(軍官布)?은여결(隱餘結)등의 재원에서 마련
정수에 대한 기초조사가 완료되어 《양역실총良役實總이 간행됨에따라양역재정 전반에 걸친 정확한 수치파악이 가능해지고, 특히 호조판서 박문수의 주장으로 어염선세의 국가관리에 의한 재정보충 ... 1) 균역법(均役法)균역법(均役法)이란 균등하게 역을 나누는 법이란 뜻으로 조선 후기 영조때 실시된 양역제도(良役制度)의 개선책이다. 종래의 양역은 서민에게 많은 부담이 되 ... 었으므로, 1751년 (영조27) 영조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균역청을 설치하여 양역부담(양역을 대신하여 바치는 포목)을 2필에서 1필로 줄이고, 그로써 부족한 재정을 이획(移劃:선혜청
게를 언역하고 1742년에는 '천문도', '오층륜도'를 이듬해에는 균역의 전형인 '양역실총'을 인쇄하여 각 도에 배포했다. 이 회에 '경국대전'을 보수한 뒤 새롭게 제도적으로 바뀐 ... 들 의 불공평한 양역에 따른 폐단을 개선하기 위해 균역법을 실시하는 한편 천민들에게도 공사천법을 마련해 신분에 맞는 국가에 대한 의무를 부담시켰다. 또한 양인의 숫자를 늘려 양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