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밤이 변하면 낮이 되고 낮이 변하면 밤이 되는 것이고, 봄과 여름이 변하면 가을 겨울이 되는 것이며, 상(上)이 변하면 하(下)가 되고 하가 변하면 상이 된다.▶ 양생음사(陽生陰死 ... ), 음생양사(陰生陽死)음이 살아나면 양이 죽어가고 양이 살아나면 음이 죽어간 다는 것이다.낮이 시생하면 밤이 죽고 밤이 시생하면 낮이 죽는다는 것인데 이는 새벽이 되면 밝 ... 은 강하다.▶ 양생음(陽生陰), 음생양(陰生陽)하루도 밤은 낮을 生하고 낮은 밤을 生하며, 유는 무를 生하고 무는 유를 生하며, 우연은 필연을 生하고 필연은 우연을 生하며, 걱정
은 만물이귀결되어 포장돼는 곳임을 말한다. 그러므로 나중이라고 말할수 없다. 다시 방위음양의 이치를 여기에 대응시켜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예컨데 수는 자에서 왕성하고, 자는 양생지초이 ... 며 일은 양이 태어나는 수이다. 그러므로 수는 일이다.화는 오에서 왕성하고 오는 음생지초이며 이는 음이 태어나는 수이다.그러므로 화는 이이다. 목은 동방에서 왕성하고 동방은 양이 ... 이 부족하면 간양을 제야가는 능력을 잃어 간양상항의 현상이 출현한다 병사와 인체의 관계에서 양사가 인체에 침입한후 양의 편승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체내의 음액을 쉽게 손상하ㅕ 열증
으로, 상새옹지마(塞翁之馬)라는 금언(金言)을 새기면서 매사(每事)에 자만(自慢)도 실망(失望)도 하지말고 항시 찾아오는 변화에 대처할 줄을 알아야하는 것이다.· 양생음사(陽生陰死 ... ), 음생양사(陰生陽死)음이 살아나면 양이 죽어가고 양이 살아나면 음이 죽어간 다는 것이다. 낮이 시생(始生)하면 밤이 죽고 밤이 시생(始生)하면 낮이 죽는다는 것인데 이는 새벽이 되 ... 면 밝음은 살아나나 밤의 어두움은 죽으며, 가을 음(陰)인 서늘함이 살아나면 여름 양(陽)인 뜨거움은 물러서게 되어 있음이 바로 자연의 이치가 아니겠는가?· 양봉음생(陽逢陰生), 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