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도 매우 실용적인 십선계(十善戒) 를 소개하고 있었다. 이 십선계는 사고, 발언, 그리고 행동에 관한 세 가지 목록으로 나누어진다. 우선 사고에 관한 목록에는 욕망을 억누른다 ... 다. 다음에서 저자는 이 자기에게 부과하는 규칙을 좀 더 구체적으로 열 가지로 설명하고 있다. 이것을 저자가 속한 불가에서는 계 라고 부르는데, 자신을 제어하는 규칙이라는 의미이다. 계 ... (戒) 는 율(律) 과 다르게 부처의 말이라던가, 스님이 말해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 규칙을 부과하는 것이 핵심이다. 마음을 방목하면 욕망과 분노가 계속해서 고개를 들이민
으니, 바로 십선계(十善戒)이다. 이것은 신, 구, 의로 우리가 저지를 수 있는 일체의 악업을 짓지 않도록 하며, 적극적으로 몸과 입과 생각을 청정히 하여 복덕을 지을 수 있게 한다 ... 는 것이다.바른 수행자는 계를 잘 지킬 줄 알아야 하며, 동시에 잘 파할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대승불교에서는 출가, 재가의 구분 없이 지켜야 할 윤리적이고도 실천적인 계가 있
가 있으니, 바로 십선계(十善戒)이다. 이것은 신, 구, 의로 우리가 저지를 수 있는 일체의 악업을 짓지 않도록 하며, 적극적으로 몸과 입과 생각을 청정히 하여 복덕을 지을 수 있 ... 자고 수행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이를테면, 소승에서는 불망어(不妄語)라고 하면, 절대로 망어나 거짓말 등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지만, 대승계는 상황에 따라 선(善)을 위하고 중생 ... 는 데 있는 것이다.바른 수행자는 계를 잘 지킬 줄 알아야 하며, 동시에 잘 파할 줄 알아야 하는 것이다.대승불교에서는 출가, 재가의 구분 없이 지켜야 할 윤리적이고도 실천적인 계
].순생업[順生業]. 순후업[順後業]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또한 중생이 고락의 과보를 받도록 인도하는 것을 업도[業道]라 하는데 여기에 십선[十善]업도와 십악[十惡]업도가 있 ... 다. 에는 시[施]. 계[戒]. 행[行]의 삼복[三福]은 정토에 왕생하기 위한 정인[正因]으로서 정업[淨業:청정업] 이라 한다.업(業)의 종류(種類)신업(身業)인간이 움직임(행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