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 인정하는 것이 지배적이고, 판례 또한 통치행위의 관념을 인정하고 있다.- 일본최고재판소 스나가와(砂川)사건판결(미일안전보장조약과 미군주둔의 합헌성판결)과 일본최고재판소 도마베지 ... ) 정부(대통령 또는 내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국회도 가능하다.(2) 사법부에 의한 통치행위는 예상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사법부의 작용인 판단작용은 판결로써 통치행위 ... (?米地)사건파결(의회해산의 합헌성 판결) 등에서 통치행위의 관념을 인정하고 있다.2. 영미법계(1) 영국- 판례를 중심으로 의회특권과 국왕의 대권에 대하여는 사법심사를 인정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