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해설하였음.≪해심밀경소서≫(解深密經疏序)원효는 분황사, 황룡사에 있을 때 자장(慈藏)으로부터 섭론학(攝論學)을 들었던 것 같으며, 현장(玄?)이 새로 전래한 호법(護法) 계통 ... 원효☞ 원효(617 - 686)신라의 승려, 617년 경북 경산 출생, 성은 설 , 설총의 아버지, 29세에 황룡사에서 출가,불교의 종합과 실천을 통한 대중화에 힘 씀, 법화경 ... 있다.유식 계통의 가장 중요한 경전인 ≪해심밀경≫의 주석서로서, 유명한 원측(圓測)의 ≪해심밀경소≫와 대비할 만한 전적이나 안타깝게도 서(序)만이 현존한다.≪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
)를 선양하는 의도로서도 행해졌고, 따라서 교상판석은 종파 성립의 필수적인 요건처럼 되기도 하였다.경전 중에 있는 교판사상을 간단히 살펴보면 해심밀경의 삼시설(三時說)로 1 아함경 ... , 2 반야경, 3 화엄경과 해심밀경으로 나눈 것이고 화엄경의 삼조설(三照說)은 1 산꼭데기, 2 골짜기, 3 평지의 해가 비침으로 설명되어 있는 것인데 이것을 지의 는 이것을 五時 ... )로 현교와 밀교를 나눈 것이 있고 계현의 삼시교설(三時敎說)은 아함경, 반야경 해심밀경으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지광은 삼교설(三敎說)로 소근기 소승법, 중근기 법상대승, 상근기 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