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바티스타 비코(Giambattista Vico)의 역사철학- 목 차 -1. 들어가며2. 비코의 역사인식1) 데카르트와 비코2) 비코의 역사관3. 비코의 역사진행1) 역사진행 ... 의 3단계2) 나선형 역사진행4. 나오며1. 들어가며잠바티스타 비코(Giambattista Vico;1668~1744)는 합리주의적 사고가 지배적이었던 시대를 살면서도 이를 극복 ... 을 받지 못한 체 사장되는 듯 했지만 19세기 들어서면서 그의 이론은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고 현재의 역사학에 있어서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따라서 이 글에서는 잠바티스타 비코
비코의 역사 철학사학전공 4학년 김우용I. 들어가며잠바티스타 비코(Giambatista Vico)는 1668년 나폴리 서적상의 아들로 태어나 그곳 나폴리에서 1744년에 죽 ... 가 유명하다. 비코는 카라파의 각종 전투를 기술하는 과정에서 국제관계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그로티우스를 비롯한 여러 법철학자들을 연구하기 시작했는데, 법철학 ... 연구는 그의 사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사야 벌린, 이종흡·강성호 역, 『비코와 헤르더』, 민음사, 1997. pp.42∼46.비코의 유명한 저서로는 『새로운 과학
다. 이것은 그 후 많은 기독교인들에게 상고주의 사상을 갖게 하였다. 마르크스 또한 상고주의 사관이라 할 수 있다. 헤시오도스는 서양사학사에서 최초로 퇴보사관을 주장한 사람이다. 그 ... 가 데카르트에 대항하면서부터 비롯된다. 비코는 데카르트가 명석 판명한 인식의 대상에서 제외했던 역사야말로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유일한 대상이며 ‘역사란 진리 자체가 스스로를 표상 ... 된 ‘현재사’의 문제는 약간의 차이를 가지고 두 개 그룹으로 나누어진다. 크로체와 베어드는 적극적으로 현재를 주장하여 모든 역사가는 현재에 자기 앞에 주어진 과제를 파악하고 그것
을 지칭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그 역사가들이 살던 시대가 바뀌고 사회가 변하면, 역사관도 자연히 변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로써 볼 때 대부분 사학사와 비슷한 내용을 써 놓 ... 는 역사관 또는 사관이라는 말은 어디서 왔을까? 이 말은 중국사학사에서 유래하지 않고, 역시 우리의 대부분의 용어가 그러한 바와 같이 일본의 학계에서 오지 않았을까 생각된다. 사관이란 ... 막연하게 사용한다. [사관이란 무엇인가] 라는 책을 보면 실증주의, 진보주의, 상대주의 등 철학사에 나오는 이즘(ism)에다 사관을 붙여 역사관을 설명하고 있다. 역사관이라는 이름
역사를 보는 시각과 방법1. 들어가며우리가 흔히 쓰는 역사관 또는 사관이란 말은 어디서 왔는가? 이 말은 중국 사학사에서 유래하지 않고 역시 우리의 대부분의 용어가 그러한 바 ... 거기서 문제되는 것은 변화, 발전 방식 또는 진보의 개념이다. 서양사의 경우 최초의 명확한 목적론적 사관은 크리스트교에서 나왔다. 역사는 교제라는 하나의 궁극적 목표를 향해 전개 ... 인식하는 경우 비로소 성립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서양의 경우 사물의 생성 소멸을 시간적 차원에서 뚜렷이 의식한 유태, 크리스트교 세계에 사관의 기원이 있으며 그 대표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