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리학목차1. 성리학의 정의2. 성리학의 수용3. 최초의 주자학자와 한국의 성리학4. 양반사회의 통치이념화5. 한국도학(韓國道學)의 본질(本質)6. 이기론의 성립7. 심성설 위주의 이론탐구8. 성리학의 특성- 정주학의 특징. 주지주의의 특징. 예 숭상의 풍토. ..
오상지교)와 性命道德之理(성명도덕지리)]가 만당에 가득한 것이었다고 하는 글을 보면, 성리학은 중국에서 발흥?성장하는 것과 때를 거의 같이하여 습득되어졌음이 분명하다.그러나 성리 ... 자들이 심성의 수양을 위해 지극히 중요시하는 中庸(중용)의 용어가 특별히 이용되고 있으며, 고려 예종 때 왕의 임석하에 행해지던 대신들의 경전강론의 분위기를 가리켜 [三綱五常之敎(삼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