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백우어록(白雲語錄)에 구체적으로 실려 있다. 집안의 쌀독이 자주 비고, 불에 익혀 먹는 음식도 잇지 못하였으나, 거사(居士)는 스스로 이연(怡然)하였다. 성품은 방광(放曠 ... ), 先生自號也(선생자호야). 晦其名顯其號(회기명현기호), 其所以自號之意(기소이자호지의), 具載先生白雲語錄(구재선생백운어록). 家屢空(가누공), 火食不續(화식불속), 居士自怡怡如也(거사
1. 논어1. 논어의 내용 개관중국 유교의 근본문헌. 유가의 성전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사서의 하나로, 중국 최초의 어록이기도 하다. 학이편부터 요왈편까지 총 20편 ... )는 백우(伯牛). 안연에 비슷할 만큼 덕행이 높았다. 그러나 불치의 병을 가지고 있어서 공자는 "운명인가보다"하고 탄식하였다.⑤재여: 자(字)는 자아(子我)이며 노나라사람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