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가와젊은그들 독후감박제가와젊은그들을 읽는데는 전에 읽은 ‘선비의 배반’보다 빠르고 더 재밌게 읽은 것 같다. 조선후기를 담은 광범위한 이야기보다는 박제가의 시각에서 보 ... 이 저자의 마음이고 그리하여 내가 지금 읽은 이 책이 박제가의 일대기를 담은 ‘박제가와젊은그들’인 것이다. 박제가는 내게 고등학교때 시험범위때 이름을 스치듯 외웠던 인물일 뿐이 ... 에 대해서는 자주 보았던 지라 더 슬픔이 와 닿았고 그 시대에 대해 더 가깝게 다가간 느낌이었다. 박제가는 역사의 한문장으로 표현하자면 역사의 구각에 맞선 영리한 인물이다. 학문
박제가와젊은그들조선후기 실학자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은 다산 정약용이다. 그러나 중농주의자인 다산보다는 박제가의 중상주의 정책을 조선 정부에서 추진했다면, 조선후기 ... 는 놀고먹을 뿐, 하는 일이라곤 없다.” 박제가가 서자 출신이라서 조선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한 것 같다.이 책에서 조선후기의 운명을 짊어졌던 그들이란, 박제가를 비롯해 박지원 ... , 이덕무, 홍대용, 백동수, 그리고 이들의 든든한 후원자 정조 등을 가리킨다. 역사학자인 저자 박성순 교수는 특히 이들 중에서도 박제가에 주목해 그의 일대기를 다루면서, 남다른
. 이때의 경험이 바로 북학의라는 불멸의 명저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28살 박제가의 피끓는 젊음과 뒤처진 조국에 대한 울분이 집약되어 탄생한 이 작품을 처음 받아본 것은 그 ... 의’와 함께 그의 생각과 일생을 더듬어 보기로 한다.북학의가 탄생하기까지박제가는 1750년 한성에서 우부승지(右副承旨) 박평(朴坪)의 서자로 태어났다. 아버지의 관직인 우부승지는 말단 ... 은 아니지만 대단한 직책도 아니었다. 하물며 서자로 태어난 박제가였기에 어렸을 적 형편은 그리 넉넉한 편은 아니었던 것 같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아버지까지 일찍 여의어 그 생활
『하멜표류기』와 『북학의』서평하멜과 박제가1653년 조선의 제주도에 36명의 네델란드 인이 표류하게 된다. 이들 중 우리에게 잘 알려진 하멜이라는 청년이 포함되어 있었다. 그 ... 가’ 라는 청년실학자는 중국으로 향한다. 중국을 직접 경험한 그는 중국의 발달된 문명에 충격을 받고, 조국인 조선의 현실에 더욱 분개하게 된다. 박제가는 청나라의 학문과 문물 ... 의 나라에 표류하게 됨으로써 후에 기행문을 쓰게 되었던 반면, 실학자였던 박제가는 그의 원래 사상을 토대로 중국에 가서 자신이 보고 들은 것을 상세하게 기록하여 책으로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