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나타날까? 설마 또 당첨되는 것은 아니겠지? 와 같이 기대나 의심 등등의 화자의 심리 정서적 태도를 꾸며주는 경우가 많다. 문장부사는 다시 양태부사와 접속부사로 나뉠 수 있 ... 는데 양태부사는 화자의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앞서 말한 ’과연‘,’설마‘와 같이 화자의 심리적 상태를 반영하고 과장하여 표현할 때 활용된다. 접속부사는 예를 들어 나는 잘생기고 또 ... 으며 한국어의 정통성과 과학적 체계성을 다음 세대에게 전수해 주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학습 분야이다.Ⅳ. 참고문헌목정수, 한국어문법론, 월인, 2003, pp.421~433.최재희, 한국어~58.
-’의 의미효과 중에서 비시제적 의미가 읽히는 이유는 이들의 구성이 본질적으로 통사적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이나 양태 범주이기 때문인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목정수는 ‘. ... 와 상에 있어서는 그 문법 범주를 설정하기가 곤란한 경우이다. 시제(tense), 상(aspect), 서법(mood), 그리고 양태(modality)의 범주들은 의미론적으로 서로 밀접 ... 하거나 앞으로 일어나게 될 일을 이야기할 때 사용한다. 바로 이점이 국어의 미래시제를 혼란스럽게 하는 요소이다. 추측이나 예정 등의 개념은 시간의 표현이 아닌 양태의 표현에 해당
론, 문장론)의 문장 구성1. 문장 성분2. 문장, 문형3. 이중주어문, 이중목적어문, 특수구문4. 접속, 내포Ⅱ. 통사론(구문론, 문장론)의 문법범주1. 시제, 상, 양태2. 피 ... 라는 차원에서 [지시적], [중의적], [속성적] 구문으로 나누어 통사적 특성을 살피고 있으며, [양상적] 구문이라는 차원에서 [양태적], [상적] 구문으로 나누고, 마지막 ... 적 의미?(이호승), ?상적 특성의 선택에 따른 ?-었-?의 의미 분석?(정규석) 등이 상을 다루고 있다.?국어의 양태 체계 확립을 위한 시론?(이선웅)은 서법범주 설정의 필요성을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