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 있는 현상학 적 장을 중요시 하였다.개인을 이해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들의 개인적인 세계에 들어가서 그들의 내적 참조체계를 이해하는 것이다.로저스는 오랜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하 ... 은 자아실현의 부분인 '분화'를 지향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어린아이는 점차 자기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세계와 자신을 구분하기 시작한다.로저스는 자아개념이 이 현상학적 장을 구분 ... . 왜곡하게 된다.이런 마찰은 위협으로 느껴지며 갈등과 불안을 야기하며 부적응상태가 되고 부적응상태가 계속 유지가 되면 부적응적 성격이 형성된다고 보았다.4. 로저스가 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