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퇴계선생사백주년기념사업회, 1972.서원섭, 「퇴계의 도산십이곡 연구」,『퇴계학 연구』29집, 퇴계학연구원, 1974.예창해, 「退溪의 詩歌-儒家 詩歌의 文學的 限界性의 한 ... ) : 취하고 버림.함을 기대한다. 가정(嘉靖) 44년(1565) 을축년 3월 16일 도산 노인은 쓴다.) 陶山十二曲板木.2) 도산십이곡발(陶山十二曲跋)의 의미.의 발문은 앞서 말한 바 ... 에 아무런 증빙 문헌이 없는 경우가 허다한데, 도산의 이 시조는 시조에 대한 발문이 있고 판각까지 전하고 있어 문헌적으로 확실한 것이 되어, 국문학사 서술에 명확한 이정표 역할
지내면서 때때로 바깥을 거니는 재미를 새삼 말해서 무엇 하랴?- 퇴계 이황『도산십이곡』-독서(讀書)의 즐거움! 이에 대해서는 이미 동서(東西) 전배(前輩)들의 무수(無數)한 언급 ... 며 마음에 기쁨이 솟아오를 뿐이네!"- 퇴계 이황 -◐ 책과 독서에 관한 명언 명구 ◑◈ 나는 아무런 필기도 하지 않고 또 기억해 둘 만한 것을 찾으려 하지도 않은, 오히려 깊이